1. 기관지조영술(bronchography)
해부학적 특징으로 기관은 15~20개의 기관 연골로 구성된 공기의 통로로써 길이 11~12cm, 직경 2~2.5cm의 관강구조로 식도의 앞에 위치하며, 제 6목뼈 높이(반지연골 하연)에서 시작하여 심자의 뒤쪽 제 5등뼈에서 왼,오른 기관지(Lt, Rt. bronchus)로 분지된다. 오른쪽 기관지는 왼쪽 기관지에 비해 굵고, 짧으며(2.5cm), 각이 작다(25도), 위엽, 중간엽, 아래엽으로 분지되고 왼쪽 기관지는 오른쪽 기관지 보다 가늘고, 길며(5~6cm), 각이 크고(46도) 왼쪽 허파는 심장이 왼쪽으로 치우쳐 있기 떄문에 면적이 작아 위, 아래의 2개엽으로 분지 된다. 오른쪽 기관지는 위엽에서 3구역, 중간엽에서 2구역, 아래엽에서 5구역으로 분지되어 모두 10구역으로 나뉘며, 왼쪽 기관지는 위엽에서 5구역 아래엽에서 5구역으로 분지되어 모두 10구역으로 나뉜다. 생리학적 특징으로는 외부의 산소를 몸안으로 전달하고 몸안에서 생성된 이산화탄소를 제거하기 위하여 공기가 드나드는 수송관의 역할을 한다. 또한 기관지에 들어오는 이물질의 이동과 제거, 외부에서 침입하는 균에 대한 면역작용도 함께 이루어진다. 이물질의 제거는 기관지 점막의 점액과 섬모운동을 통하여 일어난다. 검사목적은 기관지 확장증, 만성폐렴, 기관지폐색, 허파농양, 허파공동 등과 같은 병리학적 상태를 검사하고 최근에는 CT나 MRI와 같은 대체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거의 시행되지 않고 있다. 조영제는 수용성 조영제를 성인의 경우 한쪽에 15~20mL를 주입한다. 전처치는 검사전 4~6시간 이상 금식한다.
검사방법은 양쪽 또는 한쪽 기관지를 검사할 수 있는데, 한쪽 검사를 시행한 다음, 1~2주 후에 반대쪽 검사를 시행하는 것이 원칙이다. 환자를 촬여앧에 앉은 자세로 국소 마취용 분무기를 사용하여 후두편도를 국소마취 한 후 기관지 catheter(nelaton tube)를 삽입한다. 검사측 기관지에 조영제를 급속하게 주입하고 조영제가 허파의 말초부 허파꽈리까지 들어가도록 숨을 들이마신다. 조영제가 기관지에 골고루 분포하여 세기관지에 잘 퍼지게 하기 위하여 숨을 들이쉬거나 기침을 하도록한다. 환자의 체위를 변화시키면서 spot촬영을 한다. spot촬영 후 단순엑스선촬영(후면촬영, 측면촬영, 사방향촬영)을 실시한다. 이때 촬영조건은 단순 흉부촬영때보다 약간 증가시킨다. 후처치로는 촬영이 끝나면 기침을 하여 조영제를 밖으로 배출시킨다. 음식이 기도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6시간 이상 금식시킨 후 음식을 섭취 하도록 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