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70 IVC 1. 경정맥 담도조영술(intravenous cholangiography) 검사목적은 쓸개 절제수술을 한 경우, 수술 전 CBD의 stone 유무를 확인한다. 쓸개관계의 기능성 질환을 관찰한다. 말단부 온쓸개관(distal CBD)의 폐색성 질환 감별, 조영제의 경구 투여가 불가능할 경우(최근에는 내시경검사나 초음파검사 또는 전산화단층촬영으로 대체되기 때문에 거의 시행하지 않는다. 간호사는 검사 전 요오드 반응검사(eye ball or skin test) 시행한다. 환자는 검사전날 저녁은 지방성분이 적은 식사를 한 후 저녁 9시 이후 금식한다. 관장(장 내용물이나 가스가 많은 경우)을 시행할 수 도 있다. 검사방법은 환자는 엎드려서 LAO 자세를 취하고 scout 촬영을 한다. 뼈 음영과 장 내용물의 위.. 2022. 9. 23. Intussusception reduction 1. 장중첩정복술(intussusception reduction) 해부학적 특징은 영아기 장폐색의 주요 원인 중의 하나로서 흔히 위쪽창자가 아래창자 속으로 말려들어 가는 것을 말한다. 돌막창자가 큰창자 안으로 밀려 들어 가는 것이 95% 정도로서 가장 흔하다. 환아의 80%가 1년 미만의 영아인데, 이 중 5~11개월 사이의 호발연령이고, 여아보다 남아에게서 3배 정도 더 많다. 일반적으로 창자겹침증의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다. 생리적 특징은 심한 복통으로 울며 다리를 배위로 끌어당이고 이때 구토를 동반한다. 발작후에 5~15분간의 무증상 시기가 있으며 이를 반복한다. 증상 발현 후 초기 몇 시간 동안은 정상적인 대변이 나올 수 있으나 그 후에 대변 및 방귀 배출은 거의 없다. 발병 12시간 이내 특징적인.. 2022. 9. 22. CTTS 1. 대장통과시간검사(Colonic Transit Time Study) 검사목적은 큰장자의 운동기능을 평가하는 기본적인 검사로 만성 특발성 변비, 만성 기능성 설사, 과민성장증후군 등을 목적으로 시행한다. 전처치는 검사 중에는 하제를 복용하거나 관장 및 좌약은 절대 금지한다. 또한 진정제, 진통제, 항콜린제, 기타 위장관 운동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약제 등은 복용을 중지해야 한다. 그리고 큰창자 내에 오랫동안 배출하지 못한 대변이 있는 환자는 큰창자를 비우고 약 2주 후에 대장통과시간검사를 시행하여야 한다. 검사방법에는 단일 표지자 검사법(single marker study)로 환자는 검사 당일 오전에 20개 또는 24개의 방사선 비투과 표지자가 들어 있는 캡슐 한 정을 물과 함께 복용한다. 그리고 5일.. 2022. 9. 21. HDCD 1. 저장성 십이지장조영검사(Hypotonic double contrast duodenography) 검사목적은 샘창자의 형태, 위치의 이상 유무, 궤양(ulcer), 종양(tumor), 살버섯(polyp), 곁주머니(diverticulum) 등과 유두부의 병변을 검색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또한 샘창자가 이자두부를 감싸고 있으므로 이자두부의 간접적인 이상 유무를 알 수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USG와 CT, MRI 검사로 이자의 질환을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으므로 이자 질환의 감별을 위해 샘창자검사만을 시행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전처치는 위장조영검사에 준하여 8시간 이상 금식(NPO)을 시행한다. 흡연은 타액과 위액의 분비를 촉진하므로 삼가하고 검사 전에 물을 마시면 작은 살버섯과 궤양의 진단에 어.. 2022. 9. 20. 이전 1 2 3 4 ··· 18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