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70

ESWL 1. 체외충격파쇄석술(Extracorporeal Shock Wave Lithotripsy: ESWL) 체외에서 발생시킨 고에너지의 압력파(충격파, 진동파)를 이용하여 체내의 돌 등을 2mm 정도로 분쇄하는 비침습적 시술로서 배설 또는 포획이 용이하게 하는 검사법이다. 치료의 대상은 쓸개 산통의 증상을 경험한 쓸개돌 환자는 무증상의 환자와는 달리 다시 증상이 발현할 기회가 높고 합병증이 초래될 가능성이 높다. 그리고 방사성 투과성 돌의 경우 밀도가 낮기 때문에 유리하며, 돌의 위치나 협착 등으로 내시경 삽입이 어려운 경우 또는 크기가 30mm 미만의 1~3개정도의 비석회화 돌을 가진 환자들 중 경구담낭 조영술에서 쓸개의 기능이 잘 유지된 경우 일반적으로 치료의 대상이 된다. 레이져나 전기수압분쇄법은 쓸개관.. 2022. 9. 19.
Fistulgraphy 1. 누공 조영술(fistulography) 해부학적 특징은 장과 장 사이, 신체표면 또는 혈관과 혈관사이에 있는 비정상적인 통로를 샛길(fistula)이라고 한다. 조직내에 생긴 관모양의 결손, 염증 변화 때문에 조직이 붕괴되어 생긴 것이 많다. 보통 그것이 연결하는 기관 또는 부분에 따라 항문 질, 기관지 피부, 간 가슴안, 허파 복막, 요도 질샛길로 불린다. 결핵성 원인, 외상, 선천적인 경우 등이 있으며 무엇보다 샛길의 원인과 원발부에 대한 검사가 필요하다. 이같은 통로는 생리학적 실험에서 어떤 체액 분비물을 얻을 목적으로 실험적으로 만드는 경우도 있다. 검사목적은 샛길의 형성 및 샛길의 방향, 크기, 길이, 원발부 탐색 등을 진단하기 위하여 시행한다. 검사방법은 투시 촬영대 위에 환자를 눕히고 .. 2022. 9. 18.
Myelography 1. 척수강 조영술(myelography) 해부학적 특징은 척수는 경질막, 거미막, 연질막의 3겹으로 된 수막으로 보호되어 있다. 경질막은 가장 가쪽을 구성하는 피막으로 그 외엽은 척주관과 두개강의 골막으로 이행한다. 거미막은 경질막의 내면으로 신경과 고유혈관의 분포가 거의 없는 약한 막으로 결합조직의 섬유다발로 결합되어 있는데 이 내부를 거미막밑공간이라고 하며 뇌척수액이 흐른다. 연질막은 척수와 뇌의 표면을 덮고 있는 얇은 막으로 미세혈관의 분포가 풍부한 막이다. 생리학적 특징은 척수는 목과 허리가 팽대되어 있으며 31쌍의 척수신경이 전외측구와 후외측구에서 위,아래 1열로 분지되어 전외측구는 몸통, 팔, 다리를 후외측구는 등쪽의 근육과 피부를 지배한다. 검사목적은 추간판 탈출증, 척수와 압박된 신경근의.. 2022. 9. 17.
Discography 1. 추간판조영술(discography) 해부학적 특징으로는 척추사이연골 또는 척추사이원반이라고도 한다. 제 2목뼈 이하 제 5허리뼈와 엉치뼈바닥 사이에 있으며 사람은 보통 23개이다. 각각의 척추사이원반은 가운데가 가장 두껍다. 원반의 바깥쪽은 결합조직과 섬유성 연골로 되어 있는 섬유테(annulus fibrosus)가 있고, 안쪽의 중앙은 연골세포군의 부드러운 섬유성 연골로 된 수핵이 있으며 여기에는 다량의 수분이 함유되어 있다. 생리학적 특징은 척주의 부위에 따라서 원반의 두께가 다른데 등뼈의 가운데가 가장 얇다. 척추사이원반은 그 구조상 강한 탄력성과 팽창성을 가지고 있으며, 척주의 굽히고 펴는 운동이나 척주를 중심으로 하는 몸의 지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검사목적은 척수강조영술에서 발견되.. 2022. 9. 1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