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70

Arthrography-2 2. 고관절강 조영술(hip joint arthrography) 해부학적 특징은 골반의 관절고랑 넙다리뼈머리 사이에 끼어 있는 관절로 팔의 어깨관절에 해당한다. 둥근 넙다리뼈머리가 관골구에 끼어 있다. 관골고랑은 관절오목은 그 둘레에 두꺼운 섬ㅇ성 연골의 관절테두리가 둘러싸고 굽힘과 폄, 모음과 과 벌림, 안쪽과 가쪽돌림 등 다축성 운동을 제한한다. 특히, 뒤쪽 굴곡에 대한 제한은 두드러져서 그 각도가 20도 정도이다. 엉덩관절뼈머리의 정점에서는 넙다리뼈머리 인대가, 관절오목의 주변에는 엉덩뼈넙다리 인대가 나와 있는데, 이들은 모두 관절운동을 제어한다. 팔찌두덩뼈주머니인대 등은 주로 관절주머니를 보강하고 있으며, 신체 중에서 가장 두껍고 강하다. 관절의 안쪽을 고리 모양으로 둘러싸는 인대와 바깥쪽으로 뻗.. 2022. 9. 15.
Arthrography 1. 슬관절강 조영술(knee joint arthrography) 해부학적 특징은 인체에서 가장 복잡하고 약하여 침해를 받기 쉬운 무릎관절은 넙다리뼈의 안쪽,가쪽관절융기와 정강뼈 상단의 안쪽,가쪽관절융기 사이에 이루어지는 경첩관절이며, 전면에 무릎관절이 부착하여 관절 형성에 관여한다. 그러나 이 관절은 다리를 구부린 상태에서는 약간의 회전운동이 가능한 관절로 실제적으로는 3개의 활막성 관절, 안쪽정강,넙다리관절, 가쪽정강,넙다리관절, 무릎넙다리관절이 있다. 관절주머니는 넙다리뼈 하단의 가장자리에서 시작되어 정강뼈 상단의 가장자리에 붙어 있다. 그 밖에 안쪽 및 가쪽의 곁인대, 관절안에 있는 무릎십자인대를 비롯하여 많은 튼튼한 인대에 의하여 뼈의 결합이 강화됨과 동시에 운동방향과 범위가 제한되어 있다. 생.. 2022. 9. 14.
Bronchography 1. 기관지조영술(bronchography) 해부학적 특징으로 기관은 15~20개의 기관 연골로 구성된 공기의 통로로써 길이 11~12cm, 직경 2~2.5cm의 관강구조로 식도의 앞에 위치하며, 제 6목뼈 높이(반지연골 하연)에서 시작하여 심자의 뒤쪽 제 5등뼈에서 왼,오른 기관지(Lt, Rt. bronchus)로 분지된다. 오른쪽 기관지는 왼쪽 기관지에 비해 굵고, 짧으며(2.5cm), 각이 작다(25도), 위엽, 중간엽, 아래엽으로 분지되고 왼쪽 기관지는 오른쪽 기관지 보다 가늘고, 길며(5~6cm), 각이 크고(46도) 왼쪽 허파는 심장이 왼쪽으로 치우쳐 있기 떄문에 면적이 작아 위, 아래의 2개엽으로 분지 된다. 오른쪽 기관지는 위엽에서 3구역, 중간엽에서 2구역, 아래엽에서 5구역으로 분지되어.. 2022. 9. 13.
Dacryocystography, Pharyngolaryngography 1. 누낭조영술(dacryocystography) 해부학적 특징으로는 눈물주머니는 눈시울 부근에 있는 것으로 눈물을 모아 두고 있는 주머니를 말한다. 크기는 위아래 8~15mm, 좌우는 4~6mm, 앞뒤는 7~8mm이다. 눈물주머니오목 속의 안쪽 눈인대 뒤에 있고 눈확뼈막으로 덮여 있다. 위쪽 둥근 부분을 눈물주머니천장이라고 하는데, 아래쪽은 관 모양으로 되어 코눈물관으로 이어진다. 생리학적 특징은 눈알의 위쪽 바깥에 위치한 눈물샘에서 분비되는 눈물은 눈알의 건조와 이물질을 제거하며 눈물점에서 눈물관, 즉 위,아래눈물소관으로 나뉘어 눈물주머니로 개구한다. 눈물주머니는 코뿌리 양측의 눈물주머니오목에 있는 작은 주머니 형태로 되어 있으며, 눈물점에서 코눈물관으로 하행하여 눈물이 흘러 들어가다가 아래콧길에서 .. 2022. 9. 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