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70

Sialography 1. 타액선조영술(sialography) 해부학적 특징으로는 침샘(salivary gland)은 침을 분비하여 입안의 건조방지와 감염을 예방하는 역할을 한다. 침샘의 종류에는 귀밑샘(parotid gland), 턱밑샘(submandibular gland), 혀밑샘(sublingual gland)의 큰침샘과 입술샘, 볼샘, 입천장샘, 어금니샘, 혀샘의 작은침샘이 있어 점액, 장액, 혼합액을 분비하여 침을 이루게 된다. 침샘은 좌우 3쌍으로 구성되어 있다. 생리학적 특징은 1일에 약 1L가 분비되는 침은 음식물의 저작, 맛, 삼키기(deglutition)에 관여하고 프티알린(ptyalin) 이라는 탄수화물 분해효소가 있어 소화작용을 한다. 검사목적은 침샘의 감염성 병소부위와 암, 침샘샛길(salivary f.. 2022. 9. 11.
Vaginography 1. 질조영술(vaginography) 검사목적은 질(vagina)의 선척적 기형, 병리학적, 창자질샛길(enterovagina fistula) 검사이다. 전처치는 배뇨를 시행한 후 검사하고 표준 검사방법으로는 scout, RPO, A-P, LPO, 이상부위 spot 촬영을 한다. 검사방법은 환자는 산부인과적 자세(lithotomy position)를 취하며 넙다리를 벌리가 질 개구부(vagina orifice)에 도뇨관(foley catheter)을 놓고 팽창시킨다. 조영제를 주입하면서 질(vagina) 밖으로 흘러나오지 않게 한다. 투시 조영하면서 이상이 발견되면 spot 촬영을 한다. 영상평가는 두덩결합(pubic symphysis)의 upper border level이 중앙에 놓여야 한다. 모든 .. 2022. 9. 10.
Seminal vesiculography, cavernosography 1. 정낭조영술(seminal vesiculography) 무정자증이거나 심한 정자감소증(oligospermia)을 보이지만 고환조직 생검에서 정상소견을 보이는 경우 정관의 폐쇄를 의심해야 하며 이 경우 정관조영술을 시행해 볼 수 있다. 정관조영술은 정관을 통하여 정관 먼쪽(방광쪽)으로 조영제를 주사하면서 촬영한다. 정고나에 이차적 폐쇄를 유발할 수 있는 침습적인 검사이기 때문에 최근에는 진단목적으로 단독으로 시행하지는 않는다. 대개 부고환정관문합술과 같은 수술적 치료를 결정하였을 때 수술실에서 시행하는 것이 보편적이다. 검사목적은 정낭의 만성염증, 사정관의 폐색, 강직성으로 인한 남자의 불임을 진단한다. 정낭의 크기와 형태를 알 수 있다. 정낭의 발육부전, 정관의 협착 및 폐색을 진단할 수 있다. 종양.. 2022. 9. 9.
HSG 1. 자궁난관조영술(HysteroSalpingoGraphy) 검사목적은 여성 불임진단을 위한 자궁과 자궁 부속기관의 방사선학적 검사로서 다음과 같은 목적으로 시행한다. 자궁과 자궁관의 위치, 형태 및 크기 등의 측정, 자궁관의 폐쇄나 유착에 의한 불임의 진단, 용종, 점막하 종양, 샛길의 진단, 염증 및 습관성 유산의 진단과 자궁관의 수술 후 상태 확인, 복원수술 후 관 개통성의 복원상태 진단 등이 있다. 조영제는 이온성 조영제로 이온을 갖고 있어 체내의 물질과 화학반응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으므로 혈관 이외의 관 등에 사용한다. 전처치는 검사대상 환자는 임신 가능성이 없는 경우로서 검사시기는 월경시작 후 10일이내에 시행한다. 검사일자가 정해지면 성교를 중단한다. 변비가 있는 경우에는 검사전일 저녁에 완.. 2022. 9. 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