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Clavicle joint AP(AnteroPosterior)or PA(PosteroAnterior projection=빗장뼈(쇄골) 전후방향 촬영
촬영목적은 acromioclavicular joint와 sternoclavicular joint이 포함되는 clavicle가 나타나며, fracture of clavicle, acromioclavicular joint와 sternoclavicular joint의 관계를 관찰 할 수 있다. Film size는 10x12 crosswise를 사용하며, standing or supine or sitting 모두 촬영이 가능하며 fracture에 의한 골절편의 전위에 의한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는 standing PA position으로 촬영을 해야 한다. Object center를 줄 때 마른 체형은 15도, 정상 체형은 10도, 비만형은 5도 준다. 영상 기준은 both acromioclavicular joint와 sternoclavicular joint가 포함되는 전체 clavicle이 나타나야 하며, clavicle의 안쪽 부분은 1st~2nd rib에 겹쳐서 나타나고 superior angle of scapula(어깨뼈의 위각)에 약간 겹쳐서 나타나야한다. SID는 100cm 이며, 조건 값은 70kVp, 20mAs 로 촬영한다.
1.복장-빗장관절(sternoclavicluar joint) 2.빗장뼈(쇄골,clavicle)
3.봉우리빗장관절(견쇄관절,acromioclavicular joint) 4.견봉(acromion)
5.갈비뼈(늑골,ribs) 6.위팔뼈(상완골,humerus)
7.접시오목(관절와,glenoid cavity) 8.등뼈(흉추,thoracic spine)
2. Clavicle AP Axial Projection=AP Lordotic Position=빗장뼈(쇄골) 전후축방향 촬영
촬영목적은 thorax를 구성하고 있는 rib으로부터 분리된 clavicle가 나타나며, fracture of clavicle, acromioclavicular joint와 sternoclavicular joint의 관계를 관찰 할 수 있다. Film size는 11x14 lengthwise를 사용하며, 촬영 자세는 sitting or standing을 한 뒤 bucky stand 30cm 앞에서 발을 어깨 넓이 만큼 벌리고 발끝이 앞으로 향하게 한 후 bucky stand의 가로 중심선에 both acromio-clavicular joint가 일치하도록 조정을 한다. Object center는 mid point of both acromioclavicular joint에 주고, AP axila projection이 힘든 환자나 노약자의 경우에는 prone position에서 PA axial projection으로 촬영을 한다. AP axial projection: object center를 향해 cephalad(머리방향) 10도~15도 주고, PA axial projection: object center를 향해 caudad(발방향) 25~30도 주고 촬영을 진행한다. 영상 기준으로는 thorax를 구성하는 rib과 분리되어 clavicle이 나타나야 하고 대칭되어야 한다. 또 distal clavicle은 scapula의 acromion 위에서 왜곡된 영상으로 나타나야 한다.
3. AcromioClavicular(AC) Joint Bilateral AP or PA Projection=Pearson Method
촬영목적은 both acromioclavicular joint에 stress를 주었을 때와 안 주었을 때 나타나는 해부학적 구조를 비교할 수 있다. dislocation and separation of shoulder joint(어깨관절의 탈구 및 분리): 단순 방사선촬영에서 관절의 전위는 관절의 간격이 힘줄 측보다 넓어져 있을 때 후방으로 전위된 것을 의미한다. Film size는 14x17 lengthwise를 사용하며, 어깨가 넓은 환자들을 검사 할때는 SID는 최대한 멀리 두어(180cm 이상)image field를 넓혀서 많은 부분이 포함 될 수 있도록 검사를 진행한다. bucky stand 앞에 똑바로 서서 양 손에 동일 무게(5kg~7kg)를 들고 촬영하고,어깨통증으로 만약에 무게를 들지 못하는 경우에는 방사선사가 apron(방사선방호복)을 착용하고 환자를 supine 상태에서 table 끝에서 무릎으로 양발을 고정한뒤 양손 끝을 잡아당겨서 촬영을 한다. 또 한번은 양 손에 들지 않게 한 후 촬영을 한다.(비교영상을 얻기 위함이다) jugular notch에서 위로 4cm 되는 지점에 동일 무게를 양 손에 들 때:object center를 향해 수직으로 주고, 동일 무게를 양 손에 안들 때:object center를 향해 cephald(머리방향) 15도 준다.
'지식을 쌓아가는 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Knee LAT,Weight bearing AP, Stress view (0) | 2021.12.05 |
---|---|
Ankle Stress view, Knee AP and OBL (0) | 2021.12.04 |
Foot AP,OBL,LAT (0) | 2021.12.02 |
Shoulder Axial, Hill-Sachs , Stryker Notch View (0) | 2021.12.01 |
Shoulder AP,OBL (0) | 2021.11.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