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Knee joint lateral Projection=무릎관절(슬관절) 측(옆)방향 촬영
촬영목적은 degenerative disease and tumor of the knee joint(무릎관절의 변형성 질환 및 종양)의 관찰, medial and lateral intercondyloid eminence fracture of tibia(정강뼈의 안쪽과 가쪽 관절융기사이 융기골절), fracture of tibial spine and proximal fibula(정강뼈 가시의 골절 및 몸쪽 종아리뼈의 골절), knee joint(tibiofemoral joint)와 patellofemoral joint의 관찰 등을 할 수 있다. Film size는 10x12 half crosswise이며, long axis of leg를 film mid line에 일치시키고 interepicondylar line(위 관절사이 선)이 film면에 수직되게 조정을 한다. knee joint를 15~20도 flextion시킨다. 이 자세를 유지하기 위해 방사성 투과물질을 이용해 knee joint과 ankle joint에 지지해준다. object center를 향해 cephalad(머리쪽) 5~10도 준다. 양쪽 condyle이 겹쳐지지 않아 true lateral 촬영이 되지 않았을 때, tibia와 fibula의 거리가 많이 떨어져 있으면 knee joint를 몸의 안쪽으로 회전을 시키고, tibia와 fibula의 거리가 많이 겹쳐서 있을 시에는 knee joint를 몸의 바깥쪽으로 회전을 시키면 좋은 영상을 얻을 수 있다.
1. 넙다리뼈(대퇴골,femur) 2.융기사이결절(과간융기,intercondylar eminence)
3.무릎뼈(슬개골,patella) 4.붓돌기(경상돌기,styloid process)
5.정강뼈거친면(경골조면,tibial tuberosity) 6.종아리뼈(비골,fibula)
* 변형성무릎관절증 등의 무릎관절통과 불안정감이 있는 질환에 대해서는 rosenbergis법에 의한 촬영이 시행된다. 이 촬영법은 환자를 선자세로 하여 무릎앞면을 cassette면에 붙인 PA방향으로 한다. cassette면에 대해 넙다리뼈축을 25도, 다리뼈축을 20도로 하고 정강뼈안쪽과 관절면 중앙을 향하여 cassette면에 수직보다 10도 발쪽으로 입사한다. 불안정한 자세 때문에 지지봉 등을 잡게 하여 움직임을 막는 것이 중요하다.
2. Knee joint Weight Bearing AP Projection
촬영목적은 arthritis of knee joint, varus and valgus(안쪽과 가쪽 번짐 기형)의 정도 관찰, ostectomy(골 수술)시 수술 전후의 평가에 이용된다.
3. Knee joint AP Stress Projection
촬영목적은 varus stress(안쪽 번짐): compartment of lateral joint(가쪽 관절의 구획)가 열리고 lateral meniscus(가쪽 반달), anterior cruciate ligament(앞 십자인대) 및 lateral collateral ligament(가쪽 곁 인대)의 파열 유무 관찰 // valgus stress(가쪽 번짐): compartment of medial joint(안쪽 관절의 구획)가 열리고 medial meniscus(안쪽 반달), anterior cruciate ligament(앞 십자인대) 및 medial collateral ligament(안쪽 곁 인대)의 파열 유무 관찰이 가능하다. Film size는 10x12 half crosswise를 사용하고, pressor device를 frame 중간에 위치시킨 후 cushion pad를 정확이 knee joint의 joint space에 위치시킨 후 15daN의 압력으로 pressing 한다. stress에 의한 움직임이나 회전되지 않아야 한다.
4. Knee Joint Anterior and Posterior Drawer Stress Projection
촬영목적은 tears of cruciate ligament 유무의 관찰이 가능하다. part position은 knee joint를 60~90도 flexion시키고 counter-support를 patella 위쪽과 ankle joint의 앞쪽에 장착을 한 후 pressure의 cushion pad를 knee joint 하방 5cm(tibia tuberosity 후방)에 위치시킨다. 15daN의 압력으로 pressing 한다. 만약 간단한 근육 손상인 경우에는 20daN 압력을 가한다. anterior draw stress view: anterior cruciate ligament의 손상을 관찰, posterior draw stress view: posterior cruciate ligament의 손상을 관찰이 가능하다.
'지식을 쌓아가는 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Pelvis AP,OBL,LAT,Frog-Leg (0) | 2021.12.07 |
---|---|
Knee PA Axial, Patella AP or PA Tangential (0) | 2021.12.06 |
Ankle Stress view, Knee AP and OBL (0) | 2021.12.04 |
Clavicle AP,Axial / AC joint (0) | 2021.12.03 |
Foot AP,OBL,LAT (0) | 2021.12.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