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Cevical vertebrae PA(PosteroAnterior) Oblique Projection=목뼈(경추) 후전사방향 촬영
촬영목적은 IR면에서 가까운쪽 척추사이구멍(추간공)과 척추뼈고리뿌리, 목뼈위관절돌기의 외상에 의한 골절, 탈구 등의 병변 유무를 관찰한다. 환자는 선자세나 앉은자세 또는 반쯤 엎드린자세로 한다. 선자세가 편안하게 자세를 잡을 수 있다. 환자는 후전자세로 수직격자장치에 촬영쪽 어깨를 밀착한 후 앞쪽이 45도 되게 돌려 IR면 중심에 목뼈 장축이 평행이 되게 한다. 그리고 다섯째 목뼈가 중앙이 되도록 조정한다. 환자는 턱을 약간 들어 턱뼈가지가 목뼈와 겹치지 않도록 한다. 자세를 고정하여 촬영하는 동안 호흡을 멈추게 한다. 중심선은 넷째 목뼈를 향해 발쪽으로 15~20도로 입사한다. 촬영point는 목뼈의 각 척추사이구멍을 선명하게 관찰할 수 있고 장축이 비틀어지지 않도록 촬영한다. 이 촬영은 좌우의 형태비교를 위해서 양쪽 사방향 촬영이 기본이다. 아래턱(하악)을 앞으로 내밀어 아래턱뼈(하악골)와 목뼈와의 겹침을 피할 수 있지만 정렬의 엇갈림이 생기는 경우도 있어 목을 수직으로 유지하는 자연체위로 촬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척추사이(추간)관절은 고리뿌리(추궁근)와 겹쳐 있기 때문에 목뼈탈구에서는 척추사이관절돌기의 나열의 흐트러짐을 관찰할 수 있다. 환자가 비만 체형인 경우에는 IR면에 대하여 55~60도 가까이 경사지게 하면 각 척추사이구멍의 배열이 정돈된 형태로 촬영영상을 얻을 수 있다.
1.목불뼈(설골,hyoid bone) 2.목뼈고리뿌리(경추추궁근,pedicle of arch of c-spine)
3.목뼈가로돌기(경추횡돌기,transverse process of c-spine)
4.목뼈위관절돌기(경추상관절돌기,superior articular process of c-spine)
5.목뼈가시돌기(경추극돌기,spinous process of c-spine)
6.척추사이구멍(intervertebral foramen)
2. Cevical vertebrae Lateral functional(Flexion&Extension) Projection=목뼈(경추) 기능(전굴위,후굴위) 촬영
촬영목적은 목뼈의 기능을 보기위해 척추간의 불안정성에 의한 척추뼈몸통(추체)의 미끄러짐, 척추사이공간(추간강)의 압축이나 벌어짐, 탈구 등의 이상 유무를 관찰한다. 환자는 선자세나 앉은자세로 한다. 선자세 일때는 환자를 수직격자장치 앞에 검사쪽 어깨를 밀착시켜 측이 되도록 조정한다. 이때 굽힘과 젖힘 자세를 취할 때 몸의 정중이마면을 IR면 중심과 일치시켜 움직이지 않도록 하고 목만 이용하여 최대한 굽힘과 젖힘자세를 취한다. 전굴위 촬영은 환자의 머리를 앞으로 최대한 턱을 가슴에 밀착시켜 굽힘자세가 되게 한다. 후굴위 촬영은 환자의 머리를 최대한 젖힌 자세가 되게 한다. 자세를 고정하여 촬영하는 동안 호흡을 멈추게 한다. 중심선은 넷째 목뼈를 향해 수평으로 입사한다. 촬영point는 양쪽 어깨를 내리고 일곱 번째 목뼈 가시돌기(극돌기)가 촬영되도록 한다. 특히 젖힘자세 촬영에서는 환자가 움직일 수 있기 때문에 단시간 촬영이 바람직하다. 전체 목뼈의 동태기능을 촬영할 때는 최대한 굽힘과 젖힘 자세에서 촬영이 이상적이지만 굴곡시 목의 긴장에 의해 혈관신경의 압박을 일으키기 쉽고 또한 척추손상, 골절, 탈구 등이 생길수도 있기 때문에 환자의 상태에 충분히 주의하면서 구부려야 한다. 초점과 영상면거리(SID)를 180cm(원거리)로 촬영한다. 통상 목뼈측면의 중간위 촬영과 함께 촬영되며 외상 등에 의한 탈구, 아탈구가 있는 경우에는 굽힘자세촬영에서 가시돌기 사이의 벌어짐, 척추사이공간의 압축 등이 보이고 척추원반(추간판) 변성에 의한 척추뼈몸통의 전방 미끄러짐, 후방 미끄러짐 등이 있는 경우에는 척추뼈몸통 앞모서리를 연걸하는 선, 척추뼈몸통 뒤모서리를 연결하는 선에 엇갈림이 생긴다. 목뼈 측면상에서는 척추뼈몸통 앞모서리를 연결하는 선, 척추뼈몸통 뒤모서리를 연결하는 선은 매끄러운 곡선을 그리기 때문에 이 선의 엇갈림이 불안정성을 의심하게 되는 포인트가 되고 있다.
3. CervicoThoracic Region Lateral Projection=Twining법(swimmer's method)=경흉추 측방향 촬영
촬영목적은 일곱번째 목뼈~첫번째 등뼈를 목뼈 측방향에서 관찰이 어려울 때 시행하는 촬영법으로 골절, 탈구 등의 병면 유무를 관찰한다. 환자는 선자세나 앉은자세 또는 옆으로 누운자세를 취한뒤 IR면에 밀착된 쪽 팔을 위로 들어 올린 상태에서 어깨를 앞이나 뒤로 약간 돌리고 반대쪽 어깨는 검사쪽 어깨의 반대방향으로 돌려 어깨와 팔을 아래로 늘어뜨린다. 자세를 고정하여 촬영하는 동안 호흡을 멈추게 한다. 중심선은 두번째 등뼈를 향해 수평으로 입사하고, 양쪽 어깨가 분리되지 않은 경우에는 발쪽으로 5도 입사한다. 촬영point는 양어깨의 음영 사이를 통하여 아래목뼈와 위등뼈의 측방향 촬영상을 관찰할 수 있다. 등뼈와 목뼈가 측방향 촬영상으로 나타나야 되며 척추자체가 회전되어서는 안 된다. 제5목뼈에서 제5등뼈까지의 부위를 포함해야 한다. 양 어깨가 서로 겹쳐지지 않도록 해야 하여 조사조건은 어깨를 투과할 정도로 적정해야 한다. 이 촬영법 외에도 환자를 옆으로 누운자세로 하여 머리에 베개를 베게 하거나 또는 한쪽팔을 머리쪽으로 팔베개 하고 다른 한쪽은 아래로 뻗어 목뼈와 등뼈의 장축이 촬영대 면과 평행되게 하는 Pawlow법도 있다.
'지식을 쌓아가는 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L-Spine AP,LAT (0) | 2021.12.15 |
---|---|
T-Spine AP,LAT (0) | 2021.12.14 |
C-Spine AP,LAT (0) | 2021.12.12 |
Mastoid Air Cell Stenverse,Henschen,Schuller,Lysolm,Law (0) | 2021.12.11 |
PNS Waters,Caldwell,LAT (0) | 2021.12.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