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식을 쌓아가는 일

Mastoid Air Cell Stenverse,Henschen,Schuller,Lysolm,Law

by 우주가득 2021. 12. 11.
반응형

1. Mastoid Air Cell AxioLateral Oblique Projection=Stenverse법=꼭지벌집(유돌봉소) 축측사방향 촬영

촬영목적은 바위능선(pyramidal ridge), 꼭지돌기(유양돌기)의 벌집, 꼭지방(유돌기동), 고실부위, 속귀길(내이도)과 바위모뿔을 볼 수 있고, 염증 또는 종양 등에 의한 고실, 바위모뿔부의 병변의 유무를 관찰한다. 촬영자세로는 환자는 옆드리거나 수직격자장치 앞에 앉게하여, 안와하이공선(IOML)은 촬영대면에 대해 수직을 이루고 턱을 잡아당긴 뒤통수부의 정중면이 촬영측으로 45도 회전시켜 환자의 이마, 코, 광대뼈(협골)를 대고 검사하는 쪽이 카세트면에 밀착하게 한다. 중심선은 바깥뒤통수뼈융기(외후두융기)의 2~3cm 발쪽의 점으로부터 검사측의 바깥귓구멍(외이공)을 향해 머리쪽으로 12도 각도로 입사되게 한다. 촬영 point는 바위모뿔부 및 미로가 정면상으로 일그러짐없이 나타나고, 바위모뿔상하연, 바위모뿔끝, 꼭지벌집, 미로, 속귀길(내이도)가 선명하게 촬영되어 있어야 한다. Stenverse법에서는 바위부가 장축으로 넓게 촬영 되야한다. 주로 미로부 즉 속귀길, 안뜰굴, 앞반고리관, 가쪽반고리관, 달팽이, 바위능선, 뾰족벌집 등을 관찰 할 수 있다.

Stenverse법

1.꼭지벌집(유돌봉소, mastoid air cells)  2.꼭지돌기(유양돌기, mastoid process)

 

2. Mastoid Air Cell AxioLateral Projection=Henschen법,Schuller법,Lysolm법

촬영목적은 염증 및 종양 등에 의한 바깥귀길, 고실, 꼭지벌집, 턱관절(악관절) 등의 병변의 유무를 관찰한다. 환자는 선 자세나 엎드린 자세로 하고, 촬영대에 머리를 정측면 자세로 놓고 몸은 사방향으로 하여 환자를 편안하게 한다. 검사측의 관자뼈 부위를 카세트면에 붙이고, 정중시상면을 카세트면에 대해 평행으로 한다. 동공사이전은 수직으로 하며, 눈확아래귓구멍선은 필름의 횡축과 평행이 되게 한다. 중심선은 Henschen법의 경우는 발쪽으로 15도 기울여 입사하고, Schuller법은 검사측의 바깥귀길 또는 꼭지부를 향해 발쪽으로 25도 기울여 입사한다. Lysholm법은 발쪽으로 35도 기울여 검사를 진행한다. 촬영 point는 검사측의 측두개나 꼭지돌기부 등의 측면상이 검사반대측과 중복되지 않고, 충분한 대조도를 가지고 촬영되어 있어야 한다. 중심선을 발쪽으로 25도 기울이는 것에 의해 관자뼈 내의 기본적인 구조의 변이가 적기 때문에 검사반대측의 꼭지벌집, 턱관절이 다리쪽으로 비껴서 중복하지 않도록 검사측의 내이관, 꼭지벌집, S상정맥동, 꼭지돌기동 등이 촬영된다. 꼭지벌집 발육에는 개인차가 있고 같은사람이라도 좌우가 항상 같은 것은 아니다. 그원인은 선척적 또는 후천적인 염증의 결과라고 추측되는 경우가 있다. 목이 회전되지 않는 환자는 카세트 아래에 보조구를 넣어 머리와, 상체를 옆으로 누이면 된다. 어린이의 측위에서 아래턱뼈가 내려와 정중시상면이 카세트와 평행이 안되므로 아래턱뼈 밑에 스티로폼 등의 보조구를 넣어 아래턱뼈와 후두덮개부를 고이면 바른자세를 취하기 쉽다. 그 외 이촬영법은 턱관절 측방향의 입벌린 촬영과 입다물 촬영에도 응용된다.

Schuller법

1.꼭지벌집(유돌봉소, mastoid air cells)  2.바깥귀길(외이도, external auditory meatus)

 

3. Mastoid Air Cell AxioLateral Oblique Projection=Law법=Sonnenkalb

촬영목적은 염증 및 종양 등에 의한 바깥귀길, 고실개, 꼭지벌집, 턱관절 등의 병변의 유무를 관찰한다. 환자는 선자세나 엎드린자세로 하고 귀바퀴가 꼭지돌기와 겹치지 않게 테이프로 귀바퀴를 앞으로 접어 붙인다. 검사측의 옆머리는 카세트면에 붙이고, 머리를 정중시상면에 대해 검사측 앞으로 15도 회전한다. 또 IOML을 필름 횡축면에 평행, 동공간선이 카세트면에 대해 직각으로 한다. 중심선은 검사측의 바깥귀길 또는 꼭지부를 향해 발쪽으로 15도 기울여서 입사한다. 결과적으로 입사점은 검사반대측 바깥귀길에서 뒤로 5cm, 위로 5cm 지점이 된다. 촬영 point는 검사측과 검사반대측의 꼭지벌집의 머리부분이 중복되지 않고, 충분한 대조도로 촬영되어 있어야 한다. 이 촬영법에서는 고실을 중심으로 퍼지는 꼭지벌집의 발육상태를 schuller법보다도 광범위하게 관찰할 수 있다. 벌집의 발육정도는 기포형, 널판지형, 경화형, 혼합형으로 나뉘며, 이것들의 모든형과 중이염의 경과 예후는 밀접한 관계가 있다. 목의 회전이 안될 때는 각각의 부족각도를 X선 입사각도로 보충하면 된다. 또 고실덮개, 벌집굴, 꼭지벌집 등의 관찰에는 바로 누운 자세에서 머리의 정중시상면을 검사측으로 45도 회전해서, 검사측 꼭지돌기와 검사 반대측 눈확바깥을 잇는 선 및 IOML을 카세트면에 대해 직각으로 하고 중심선을 발쪽으로 45도 기울여 검사측 꼭지돌기쪽으로 입사하여 촬영하는 Mayer법이 사용될 때도 있다.

Law법

1.꼭지벌집(유돌봉소, mastoid air cells)  2.바깥귀길(외이도, external auditory meatus)

반응형

'지식을 쌓아가는 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C-spine PA OBL,LAT Function/C-T spine LAT  (0) 2021.12.13
C-Spine AP,LAT  (0) 2021.12.12
PNS Waters,Caldwell,LAT  (0) 2021.12.10
Skull LAT,SMV  (0) 2021.12.09
Skull AP,PA,AP Axial  (0) 2021.12.08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