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식을 쌓아가는 일

EST

by 우주가득 2022. 8. 21.
반응형

1. 내시경적 유두괄약근 절개술(Endoscopic SphincteroTomy: EST)

해부학적 특징은 위의 유문에서 약 10cm 아래에 온쓸개관과 이자관이 합쳐진 간이자팽대부, 일명 바터 팽대부가 있고 연결된 큰샘창자유두가 있다. 이 곳에는 간이자조임근 일명 오디조임근이 있어 조절되고 있다. 생리적 특징으로는 간에서 생산된 쓸개즙과 이자에서 분비되는 이자액은 각각 온쓸개관과 이자관으로 이동하면서 합쳐져 1.5cm의 바터팽대부를 통해 큰샘창자유두로 배출되어 작은창자내 음식물의 분해를 촉진하여 흡수 및 소화를 돕는다. 이때 쓸개관 및 이자관돌, 쓸개돌, 쓸개암, 이자암, 이자염증, 오디조임근 기능이상 등으로 인한 쓸개즙과 이자액의 배출에 문제가 생기면 가장 대표적인 황달, 발열, 오른위쪽배 통증, 소화불량, 변비 등의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큰샘창자

검사목적은 유두협착증, 쓸개관 내 돌(결석) 제거, 쓸개관폐색색치료, 이자관돌 제거 및 감압 등이 있고, 적응증으로는 돌 제거술, 쓸개관 배액술, 진단적 쓸개관 및 이자관 생검이 있다. 금기는 출혈성 환자, 급성 이자염, 온쓸개관 먼쪽의 긴 협착 등이 있다. 검사법으로는 1.ERCP를 시행하여 샘창자 유두부의 국소해부를 파악한다. 2. 조영제를 주입하면서 조임근의 절개여부를 확인한다. 3.조임근 절개도를 쓸개관내에 충분히 삽입한다. 절개도를 용도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한다. 4. 조임근 절개도를 1/2~2/3 정도 유두 밖으로 서서히 빼낸다(절개 전 전기조작기를 연결하고, 환자에게 petch를 종아리쪽에 붙인다) 5.조임근 절개도의 방향이 쓸개관 주행방향과 일치하도록 11시와 12시 또는 12시와 2시 방향으로 유도한다. 6. 유두부 주우의 액체를 흡입하여 절개를 용이하게 한다. 7. 조임근 절개도를 elevator를 통해 거상시키고, 전기조작기의 120W 전류를 1~2초씩 통전시키면서 역 V자형으로 절개한다. 8. 절개 후 염산 epinephrine을 첨가한 생리식염수를 살포하여 혈관을 수축시켜 지혈한다. 후처치로는 시술 후 24시간 이상 금식 해야 하며, 다음날은 유동식으로 한다. 24시간 vital sign을 check한다(합병증에 대한 증상이나 징후를 관찰) 합병증으로는 출혈: 에피네프린 희석액을 살포, 혈관을 수축시켜 지혈시킨다. 천공: 곁주머니 내의 유두절개를 할 경우나 무리한 기구조작에 의해 발생한다. 천공이 의심될 때 simple abdomen 촬영으로 후복막 기종을 관찰한다. 이자염 및 쓸개관염: 이자관의 부종과 이자관의 자극으로 papilotome의 사용 시 발생 확률이 높다. 유두 절개용칼을 사용할 때 쓸개관의 자극으로 쓸개관염이 발생할 우려가 있을때 내시경적 경비 담즙배액술로 쓸개관염을 예방한다.

반응형

'지식을 쌓아가는 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ERBD  (0) 2022.08.23
ENBD  (0) 2022.08.22
E.R.C.P.  (0) 2022.02.03
Defecography  (1) 2022.01.28
Colon Study  (0) 2022.01.2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