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내시경적 경비적 담즙 배액술(Endoscopic NasoBiliary Drainage: ENBD)
온쓸개관암은 쓸개관의 급격한 좁아짐을 동반하는 온쓸개관의 확장과 샘창자강내로 돌출하는 종괴가 나타난다. 또한 인접한 이자 머리에 침습하여 이자암을 유발하기도 한다. 쓸개관염은 대개의 경우 쓸개돌증이나 쓸개염과 합병되고 있으며 쓸개관만의 염증은 극히 드물다. 증세,진단,치료 등은 모두 쓸개돌증이나 쓸개염에 준한다. 쓸개돌이나 쓸개관암, 쓸개관협착 등으로 쓸개관이 막혀서 쓸개즙이 정체되고 여기에 이차적으로 세균이 감염되어 쓸개관에 염증을 일으키는 질환으로 쓸개관계의 급성질환 중 가장 위험하다. 검사목적은 쓸개관계 폐색성 황달환자의 감황, 쓸개관염환자의 쓸개즙 긴급배액을 하고자 할 때, 수술이 불가능한 환자 또는 수술 전 쓸개즙을 감압하고자 시행할 때, 코경유쓸개관의 배액관을 이용한 약물을 투여하고자 할 때이다. 단점은 합병증이 비교적 많고, 시술 후 안정이 필요하며, 간속 쓸개관이 확장되지 않은 경우는 곤란하다, 시술 후 관리가 번거롭다 등이 있다. 전처치로는 검사 전 8~10시간 동안 금식하고, ERCP의 전처치에 준한다.
검사방법은 환자의 인, 후두부에 점액 및 기포를 제거하기 위하여 기포제거제를 투여하고 Lidocaine을 이용하여 국소마취한다. 환자는 LAO 자세 또는 left lateral recumbent 자세로 한다. 시술자가 샘창자 유두를 통하여 온쓸개관 및 이자관에 catheter를 삽입시키고 투시 하에 조영제를 서서히 주입한다. 투시 하에 협착 또는 폐색 부위를 확인한다. 내시경을 통해 안내 도관을 온쓸개관에 넣고 안내철심을 병변부위를 지나 간속쓸개관까지 충분히 밀어 넣는다. 안내철심을 통해 코경유쓸개관 배액관을 삽입한다. 안내철심을 제거하고 배액관을 코안을 통해 체외로 빼낸다. 코경유쓸개관 배액관을 통해 쓸개즙배출 여부를 확인한다(5~7 french, sidle hole, pigtail type). 쓸개즙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면 bile bag에 연결 후 종료한다.( ENBD는 진단과 치료 그리고 예방목적으로 다양하게 이용되는 일시적 배액술로 보통 1~2주간의 비교적 짧은 기간의 쓸개즙 배출을 위해 사용되며 EST를 시행하지 않고 시술이 가능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영상평가로는 ERCP촬영에서 쓸개돌의 유무가 확실히 나타나도록 한다. 촬영시 온쓸개관 말단부의 cannula, 간속쓸개관이 조영된 영상이 포함되도록 촬영한다. 조사야 조절을 적당히 제한한다. 투시 하에 안내철심을 통해 간속쓸개관까지 넣은 후 코경유쓸개관 배액관을 코안으로 빼내면서 배액관의 이탈 유무를 확인하며 검사에 임한다. 삽입된 배액관을 중심으로 spot 촬영을 한다. 촬영시 환자의 호흡 및 장내 가스로 인해 영상의 질이 떨어지지 않게 주의시킨다. 후처치로는 시술후 2~4시간 동안 금식하고, 코경유쓸개관 배액관으로 쓸개즙이 배출되는지 여부를 관찰한다.
'지식을 쌓아가는 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PTC (0) | 2022.08.25 |
---|---|
ERBD (0) | 2022.08.23 |
EST (0) | 2022.08.21 |
E.R.C.P. (0) | 2022.02.03 |
Defecography (1) | 2022.01.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