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경정맥 담도조영술(intravenous cholangiography)
검사목적은 쓸개 절제수술을 한 경우, 수술 전 CBD의 stone 유무를 확인한다. 쓸개관계의 기능성 질환을 관찰한다. 말단부 온쓸개관(distal CBD)의 폐색성 질환 감별, 조영제의 경구 투여가 불가능할 경우(최근에는 내시경검사나 초음파검사 또는 전산화단층촬영으로 대체되기 때문에 거의 시행하지 않는다. 간호사는 검사 전 요오드 반응검사(eye ball or skin test) 시행한다. 환자는 검사전날 저녁은 지방성분이 적은 식사를 한 후 저녁 9시 이후 금식한다. 관장(장 내용물이나 가스가 많은 경우)을 시행할 수 도 있다. 검사방법은 환자는 엎드려서 LAO 자세를 취하고 scout 촬영을 한다. 뼈 음영과 장 내용물의 위치, 장기내 석회화 그리고 사진의 농도가 적합한지를 관찰한다. 정맥주사 전 요오드 반응검사(eye ball or skin test)를 실시하여 이상여부를 확인한다. 부작용이 나타나지 않으면 약 10분에 걸쳐 서서히 biligrafin을 주입한다. 정맥주사 후 엎드린 LAO 자세로 위치해 15, 30, 45, 60분 촬영을 한다. 일반적으로 15~30분 경과후 촬영에서는 간관(H.D)과 쓸개(G.B)가 그리고 30~60분 경과후 촬영에서는 쓸개과 총 쓸개관(C.B.D)이 잘 관찰된다. 바로누운 RPO 자세에서는 쓸개관과 위요관의 중복을 피할 수 있다. 이상의 검사에서 쓸개의 충만상과 총 쓸개관이 나타나면 지방식(fatty meal)을 투여하여 30~60분 경과 후 수축상을 관찰한다(fatty meal study).
2. 점적주입 담도조영술(drip infusion cholangigraphy)
검사목적은 경구 담도조영술 도는 경정맥성 담도조영술의 검사에서 쓸개관계가 잘 조영되지 않는 경우에 시행한다. 수술 후 쓸개관계 질환이 의심되거나 경과관찰을 하고자 할 때 시행한다. 간기능 장애의 진단(간내 쓸개관 나타나지 않을 경우는 작은창자의 흡수부전 원인, 쓸개가 나타나지 않는 경우 간기능 장애 원인)을 위해 시행한다. 최근에는 DIC-CT와 MRCP의 발달로 점적 담도조영술은 거의 시행하지 않는다. 금기환자는 급,만성 담낭염인 자, 혈중 빌리루빈이 3mg/dL 이상인 자, 간 또는 신장기능의 장애가 있는자, 요오드과민증 또는 갑상샘 중독증인 자 등이 있다. 환자는 검사 전날 저녁은 지방성분이 적은 식사를 한 후 저녁 8시 이후 금식(NPO)을 한다. 검사방법은 환자를 엎드리게 한 후 LAO 자세로 위치시켜 예비촬영을 한다. biligrafin 50mL와 생리식염수 250mL를 혼합하여 수액의 높이는 촬영대에서 100cm 정도에 위치시킨다. 혼합된 조영제를 약 30분 정도에 걸쳐 방울 주입한다. 주입이 끝난 직후부터 30, 60, 90, 120분 엎드린 LAO 자세로 촬영하고 경우에 따라 지연촬영을 하기도 한다.
'지식을 쌓아가는 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Intussusception reduction (0) | 2022.09.22 |
---|---|
HDCD (0) | 2022.09.20 |
ESWL (0) | 2022.09.19 |
Fistulgraphy (0) | 2022.09.18 |
Myelography (0) | 2022.09.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