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식을 쌓아가는 일

IVP

by 우주가득 2022. 8. 30.
반응형

1. 경정맥 신우조영술(IntraVenous Pyelography)

 

콩팥은 왼,오른 한 쌍으로 완두콩 모양의 복막뒤장기이다. 길이는 10~15cm, 폭 5cm, 두께 3cm 정도 이다. 한쪽의 무게는 약 150g 정도이다. 바깥쪽의 겉질, 안쪽의 속질로 구분되며, 속질내의 원뿔 모양의 콩팥피라미드가 배열되어 작은술잔을 이루고 여러개의 작은술잔이 합하여 큰술잔을 이루며 큰술잔이 합쳐저 콩팥깔때기를 형성하여 요관으로 연결된다. 정상 콩팥은 제 12 등뼈로부터 제 3 허리뼈 사이에 위치하며 오른쪽 콩팥이 왼쪽 콩팥보다 약 2cm 아래에 위치한다. 요관은 왼, 오른 한 쌍으로 구성된 길이 25~30cm 정도의 민무늬근성 관이다. 내부 점막층, 중간 근육층, 섬유성 결합조직인 외막 등의 3층으로 구성된다. 콩팥의 깔때기에서 연결되어져 방광의 뒷벽으로 열려 있다. 방광은 신전성이 양호한 평균 500mL 용량의 근육성 주머니 모양의 장기이다. 방광의 뾰족한 앞쪽 위는 방광꼭대기, 중간은 방광몸통, 넓은 뒷쪽을 방광바닥이라 하고, 방광의 맨 아래 부분은 방광목이라 하여 요도와 연결된다. 내부로부터 점막층, 점막밑층, 근육층, 장막층 등의 4층의 벽으로 구성된다. 두덩결합의 바로 뒤쪽에 접해 있으며, 남성은 곧창자의 앞쪽, 전립샘의 위쪽에 위치하고, 여성의 경우에는 자궁의 질과 앞 쪽에 위치한다. 검사목적은 임상에서 정맥요로조영술이라고도 하는 IVP검사는 비뇨계통의 해부학적 구조 및 기능을 검사하는 가장 기본적인 방사선학적 검사로서 특히 초음파 검사나 CT검사 등으로 관찰하기 어려운 술잔, 콩팥깔때기 및 요관 등에 대한 진단법으로 중요하고 정확한 검사이다.

IVP

전처치는 검사 전날 오후 6시경 가벼운 유동식으로 저녁식사 후 밤 8시경 설사제를 투약하여 장내의 변과 가스를 제거한다. 설사제 투약 후부터 1차 검사가 끝나는 시점까지 금식 시킨다. 12시간 수분제한: 단, 당뇨병 환자는 탈수의 우려가 있으므로 수분 제한에 주의를 요한다. 입원 환자인 경우 가능하면 조영제의 희석을 방지하기 위해 검사 당일 수액 투여를 제한한다. 검사 전에 소변을 보도록한다. 검사방법은 환자는 바로 누운 자세에서 KUB를 scout 촬영한다. 콩팥의 음영, 배 장기의 형태이상, 석회화된 요관돌의 유무, 허리근의 윤관 및 위치, 방광의 소변상태, 장의 가스상태, 촬영 위치, 촬영 조건 등을 점검한다. 팔오금정맥에 조영제를 주입하되 보통 1분 이내로 하고 부정맥 등이 의심되는 환자는 3분 이상 서서히 주입한다. 조영제 주입 후 1분, 3~5분 영상을 전후방향 자세로 촬영한다. 조영제 주입 후 배를 압박하거나 촬영대 경사가 가능한 경우 Trendelenburg 자세를 취한다. 조영제 주입 후 5분, 15분 supine, 15분 erect, 25분 촬영을 한다. 보통 조영제 주입 후 15~25분 상에서 최고 농축을 보이며 콩팥, 요관, 방광의 전체적인 이상 유무를 확인한다. 콩팥에 조영제가 충만되지 않을 경우나 요관의 일정 부위에서 조영제가 정체되어 방광으로 배출되지 않을 경우에는 지연 촬영한다. 정상적인 방광으로 소변 배출을 보인 경우라면 1차 검사를 마무리 하고 식사나 물, 음료수를 먹게끔 한 다음 방광에 소변이 가득 찰 때까지 기다려 2차 검사를 실시한다.

IVP

 

반응형

'지식을 쌓아가는 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DIP, RSP  (1) 2022.09.01
RGP  (0) 2022.08.31
OCG  (0) 2022.08.29
T-tube  (0) 2022.08.28
PTCS  (0) 2022.08.27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