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점적주입 신우조영술(Drip Infusion Pyelography)
검사목적은 콩팥기능의 저하, 비만, 수분제한 등으로 전처치를 할 수 없는 환자, IVP에서 콩팥이 조영되지 않은 경우, 콩팥부전 환자, 콩팥고혈압 환자, 콩팥종양 및 낭포진단의 감별, 교통사고나 외상에 의한 콩팥 파열여부의 확인 등이 있다. 방울주입콩팥깔때기조영술은 전처치가 불가능하거나 IVP검사에서 콩팥깔때기, 요관상이나 병변부위가 선명하게 나타나지 않은 환자에 적용한다. 생리식염수에 희석시킨 조영제를 방울주입방법으로 대량 주입하여 소변 중의 조영제농도를 높게 만든다. 콩팥, 요관, 방광의 전체상을 한 영상으로 관찰할 수 있으며 콩팥실질 및 콩팥혈관의 진단 감별에도 효과적이다.(최근에는 초음파 검사나 CT 검사 등 다양한 검사기법이 많아진 만큼 점적주입신우조영술 건수가 많이 줄어들고 있는 추세이다.) 환자 유의사항으로 IVP와 동일하나 수분 제한이 없고 압박띠를 사용하지 않는다. 검사 전에 조영제를 이용하여 피부나 눈알 등에 사전반응검사(skin test, eyeball test)를 실시한다. 검사방법 및 촬영 자세는 환자는 바로 누운 자세(supine)로 하여 먼저 KUB(kidney, ureter, bladder)를 scout 촬영한다. 팔오금앞정맥에 18G angio catheter로 천자한 후 수액세트를 이용하여 희석된 조영제가 담긴 생리식염수 bag과 연결한다. 촬영대로부터 100cm 높이의 정맥주사용 스탠드를 이용하여 희석된 조영제를 10~15분 내 방울주입방법으로 떨어뜨려 주입한다. 조영제가 완전히 주입된 후 3, 5, 7, 10, 20, 30분 경과 필름을 촬영하며 압박띠는 사용하지 않는다. 30분 경과 후 영상에서도 콩팥, 요관의 정상적 조영상이 보이지 않으면 영상의학과 의사와 의논한 후 필요에 따라 지연 촬영한다. 배뇨 후(post voiding) 영상을 촬영한 다음 검사를 종료한다.
2. 신속정맥주사 신우조영술(Rapid Sequence Pyelography)
본 검사는 IVP 검사를 단축하여 콩팥실질의 조영상을 얻기 위한 검사로서 콩팥동맥의 협착 또는 콩팥실질 질환에 기인된 콩팥에 의한 고혈압인가를 감별할 목적으로 시행하며 양측 콩팥의 조영제 배설속도의 차이나 콩팥실질의 조영능력을 평가하여 진단한다. 검사목적은 콩팥동맥의 협착 환자, 콩팥혈관 고혈압(renovascular hypertension) 등이 있다. 환자 유의사항으로 IVP와 동일하나 압박띠를 사용하지 않는다. 검사 전에 배뇨를 시킨다. 검사방법 및 촬영자세는 환자는 바로 누운 자세로 하여 먼저 KUB를 scout 촬영한다. 팔오금앞정맥에 18G needle로 천자한 후 조영제를 빨리 주입한다. 조영제 주입 1, 2, 3, 4, 5분 경과 후에 콩팥부위를 촬영한다. 조영제 주입 15, 25분 경과 후에 KUB 촬영을 한다.(IVP와 동일하게)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