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역행성 신우조영술(RetroGrade Pyelography)
검사목적은 콩팥잔의 미세한 변호와 요관의 폐쇄 및 협착 위치를 확인할 목적으로 경정맥 신우조영술을 통한 콩팥깔때기, 콩팥잔 등의 집뇨계 및 요관의 영상이 불충분한 경우 추가로 시행하게 된다. 요도를 통해 역행적으로 catheter를 삽입하여 아래 요관에 직접 수용성 조영제를 주입한 다음 촬영하는 침습적인 검사방법으로서 한쪽 또는 양쪽 요관을 통한 검사가 가능하다. 또한 검사 시 방광경을 이용하므로 방광경 검사와 소변 세포, 세균검사 등의 병리학적 검사를 동시에 병행할 수 있다. 조영제는 생리식염수로 희석시킨 비이온성 조영제를 1회에 5~10mL 용량으로 주사기를 사용하여 주입한다. 전처치는 IVP와 동일하나 수분 제한은 필요 없다. 배뇨할 필요가 없다. 촬영 전 확인사항으로 장치의 안전성 여부와 준비물을 확인한다. 준비물은 비이온성 조영제, 생리식염수, dressing set, 소독약, 알코올솜, 20~30cc syringe, bulb tip cathete, 국소 마취 윤활제 등이 있다. 환자에게 검사 전 전처치 여부 등을 확인한다. 검사 시 catheter 삽입에 따른 통증 등 검사과정에 대한 충분한 설명이 필요하다.
검사방법은 scout 영상으로 KUB를 촬영한다. 요도구멍을 소독하고, 변형 lithotomy 자세를 취하게 한다. 방광경을 통하여 bulb tip catheter를 요관구멍으로 삽입하여 요관을 따라 카테터의 끝이 콩팥깔때기 또는 요관의 협착, 폐색 부위까지 도달 하도록 한다. 방광경을 빼낸 후 필요시 소변을 채취하여 병리학적 검사를 의뢰한다. 필요 시 catheter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KUB 촬영을 한다. catheter 끝이 원하는 위치에 도달하면 조영제를 서서히 주입한 다음 KUB 촬영을 한다. 병소 의심부위에 대한 분할 조영촬영을 한다. catheter를 제거한 다음 5~10분 경과 후에 지연영상을 촬영한다. 주의 및 참고사항으로 catheter 삽입시 요관 천공 및 콩팥실질의 손상이나 자극에 의한 요관 통증 등의 부작용이 야기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며 catheter에 국소마취 윤활제를 바른 후 요도구멍에 삽입한다. catheter의 삽입과정과 조영제 주입시 조영제의 역류 또는 기구의 소독 불충분 등으로 인해 요로감염의 위험성이 있다. 이러한 부작용 위험 때문에 역행콩팥깔때기조영술을 무균상태의 수술실에 설치된 엑스선촬영대에서 시행하거나 수술실에서 catheter 삽입에 관한 모든 과정을 진행한 후 영상의학과 검사실로 이동해 영상의학과의 협조하에 비뇨기과 의사가 시행한다. 콩팥과 요관이 완전히 포함되어야 한다. 장점은 조영제에 의한 부작용이 적고, 콩팥 기능이 좋지 않은 경우에도 시행할 수 있다. 조영 효과가 우수하다. 병리학적 검사를 병행할 수 있다. 단점은 콩팥의 기능을 평가할 수 없고 기형의 진단이 곤란하다. IVP보다 검사 과정이 복잡하고 침습적이다. 요관 손상 및 통증과 감염의 우려가 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