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식을 쌓아가는 일

Knee PA Axial, Patella AP or PA Tangential

by 우주가득 2021. 12. 6.
반응형

1. Knee Joint Intercondyloid Fossa PA Axial Projection: Camp-Coventry Method or Tunnel View

촬영목적은 posterior fracture of femoral condyle, intercondylar notch(관절융기 사이 패임), intercondylar eminence of tibia 관찰 등이 있다. Film size  8x10 lengthwise이며, 촬영 table 위에 엎드리게 한 후 발등 부분에 spongy또는 sandbag 같은 지지물을 놓은 다음, long axis of femur를 film mid line에 일치시키고 femur의 장축과 leg의 장축 사이의 각도를 130~140도가 돠게 조정을 한다. interepicondyle line이 film 면에 평행되게 한다. 영상기준은 femur의 장축이 film mid line에 일치하고 먼쪽 femur의 posterior condyle가 대칭되게 나타나야 하며, tibia의 articular facet와 intercondyloid eminece가 겹지지 않아야 한다. leg 장축을 향해 수직으로 준다.

Knee PA Axial

1.무릎뼈(슬개골,patella)  2.대퇴골외측과(lateral femoral condyle)

3.넙다리뼈안쪽관절융기(대퇴골내측과, medial femoral condyle)  4.안쪽융기사이결절(medial intercondylar tubercle)

5.가쪽융기사이결절(lateral intercondylar tubercle)  6.융기사이오목(과간와, intercondylar fossa)

Camp-Coventry Method

 

2. Knee Joint Intercondyloid Fossa PA Axial Projection: Holmblad Method

long axis of femur를 film mid line에 일치시키고 femur의 장축과 leg의 장축 사이의 각도를 110~120도(film 면에 대해서는 70도)가 되게 한다. leg 장축을 향해 수직으로 준다. 영상기준으로는 intercondyloid fossa가 반측면상으로 열려 보여야 하고 patella와 겹치지 않아야 한다.

Holmblad Method

3. Knee Joint Intercondyloid Fossa PA Axial Projection: Be'clere Method

ong axis of femur를 film mid line에 일치시키고 femur의 장축과 leg의 장축 사이의 각도를 40~45도가 되게 조정을 한다. leg 장축을 향해 수직으로 준다.

Be'clere Method

4. Patella AP or PA Tangential Projection=무릎뼈(슬개골)접선축방향 촬영=Sattegast Method or Sunrise View

촬영목적은 fracture, subluxation and dislocation of patella, sulcus angle과 congruence angle 관찰이 가능하다. Film size 8x10 lengthwise 사용하고, 촬영 table 위에 엎드리게 한 후 knee joint를 flexion시키고 ankel joint에 붕대를 메고 손으로 잡게 한다. long axis of femur를 film mid line에 일치시키고 femur의 장축과 leg의 장축 사이의 각도를 80도 되게 flexion 시킨다.  Object center를 향해 leg의 장축에 대해 15~20도 준다. 만약 knee joint가 flexion이 잘 안되는 환자는 30도 준다. 무릎뼈의 뼈밀도와 무릎넙다리관절이 명확하게 나타나야 한다. 환자를 향해 조사하기 때문에 가능한 조사범위를 좁히고, 경우에 따라서는 환자에 대해 방어 apron 등의 사용을 배려한다. 영상기준으로는 patella와 femur의 anterion condyle이 나타나야 하며, patellofemural joint가 열려 보여야 한다. 또 intercondyloid sulcus(관절융기 사이 고랑)과 patella의 반측면상이 나타나야 한다. soft tissue와 trabecular marking이 선명하게 나타나야 한다. 또 다른 촬영법으로 환자가 누운자세에서 다리를 45도 굽히고 카세트를 무릎아래 약 30cm로 세워 놓고 중심선은 발쪽으로 수평선에 대해 30도로 무릎넙다리관절로 입사하는 merchant bilater법과 엎드린자세로 무릎밑에 카세트를 놓고 무릎을 45~55도로 굽히고 중심선은 머리방향으로 45도 입사하는 hughston법 및 엎드린 자세에서 무릎 밑에 카세트를 놓고 무릎을 90도로 굽히고 중심선은 머리방향으로 15~20도로 입사하는 settegast법 등이 있다.

Merchant Bilater법
Knee Patella Axial

1. 무릎뼈(슬개골,patella)

2. 무릎-넙다리 관절강(patellofemoraljoint space)

3. 관절 융기 사이 고랑(inter-condyloid sulcus or trochlear groove)

반응형

'지식을 쌓아가는 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Skull AP,PA,AP Axial  (0) 2021.12.08
Pelvis AP,OBL,LAT,Frog-Leg  (0) 2021.12.07
Knee LAT,Weight bearing AP, Stress view  (0) 2021.12.05
Ankle Stress view, Knee AP and OBL  (0) 2021.12.04
Clavicle AP,Axial / AC joint  (0) 2021.12.03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