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식을 쌓아가는 일

Mandible PA·PA axial,AP Axiolateral OBL/TM Joint Axiolateral

by 우주가득 2022. 1. 4.
반응형

1. Mandible PA(posteroanterior)·PA Axial Projection= 아래턱뼈(하악골) 후전 또는 후전 축방향 촬영

촬영목적은 턱뼈가지(하악지, mandible rami)와 턱뼈몸통(하악체, mandible body)의 골절 그리고 턱관절(temporomandibular joint)병변의 유무를 관찰할 수 있다. Film size는 8x10 crosswise를 사용하고, 환자는 엎드린 자세나 앉은 자세를 취하고, 머리부의 움직임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양손을 카세트위치의 양단에 놓고, 정중시상면이 테이블면에 수직이 되게 한다. 중심선은 턱뼈몸통(하악체)부와 턱관절을 보기 위해서는 필름중앙(입술)에 수지그로 입사한다. 또는 턱뼈가지(rami)와 턱관절돌기(condylar process)를 보기 위해서는 머리쪽으로 30도 되게 양측 털관절사이의 중간점으로 입사한다. 촬영 point는 아래턱뼈(하악골)의 턱뼈가지와 턱뼈몸통(하악체) 및 턱관절이 좌우대칭으로 촬영되어 있어야 한다. 환자는 엎드린 상태에서 코와 턱으로 머리를 고정하고, 턱뼈몸통(하악체) 촬영을 위해서는 필름중앙에 입술을 댄다. 그리고 턱뼈가지와 턱관절을 위해서는 필름 중앙에 코끝을 놓는다. 머리의 정중면이 테이블의 중앙선과 일치하게 하여 턱과 코로 머리를 고정하고 아래턱뼈 결합부 전면이 필름면에 평행하게 한다.

Mandible PA

1.꼭지돌기(유양돌기, mastoid process) 2.턱뼈가지(하악지, ramus) 3.턱뼈몸통(하악체, body)

 

2. Mandible AP(anteroposterior) Axiolateral Oblique Projection= 아래턱뼈(하악골) 전후 축측방향 촬영

촬영목적은 턱뼈몸통과 턱뼈가지(하악지)가 각기 축측사방향으로 촬영된 영상을 관찰할 수 있다. Film size는 8x10 crosswise를 사용하고, 환자는 반쯤 누운 자세를 최하고 거상측 둔부와 어깨는 견고한 베개와 같은 고정용구를 사용하여 고인다. 턱뼈몸통(하악체)이 카세트와 평행하게 놓이도록 머리를 조정한다. 중심선은 검사측의 턱뼈몸통을 통하여 필름의 중앙점을 향해 머리쪽으로 20~25도로 입사하도록 한다. 촬영 point는 턱뼈까지, 턱뼈각(하악각), 턱뼈몸통이 검사반대측과 중복되지 않고 선명하게 나타나야 한다. 턱뼈몸통과 아래턱뼈 결합을 보기 위해서는 머리를 젖혀서 턱뼈몸통의 장축이 필름의 횡축과 평행이 되게 하고 턱뼈몸통이 필름의 아래쪽 반지점에 중심이 되게 한다. 턱뼈몸통의 넓은 면이 필름면과 평행이 되게 머리를 충분히 돌리고, 턱뼈가지를 보기 위해서는 필름의 중앙이 바깥귀길(외이도)에서 앞으로 1.3cm 아래로 2.5cm 지점이 되게 하고 고정용구로 카세트 위를 눌러 놓아 머리가 미끄러지지 않게 고정한다. 머리를 돌려서 필름면에 턱뼈가지의 넓은 면이 평행되게 한다. 비극이공선(AML)이 필름의 횡축과 평행이 되게 하면 턱뼈가지가 척추앞에 놓여 겹치지 않게 된다. 촬영 쪽의 전체 mandible이 나타나야 하며, 촬영 반대쪽의 mandible이 겹치면 안된다. 또 ramus of mandible은 cervical spine과 겹치면 안되고, madible의 ramus, condylar process 및 coronoid process가 나타나야 한다.

Mandibel AP axiolateral

3. TemporoMandibular Joint Axiolateral Projection= 턱관절(악관절) 축측방향 촬영

촬영목적은 입을 벌리거나 다문 상태에서 촬영하여 턱관절의 기능(open and close movement)과 병변의 유무를 관찰하기 위함이다. Film size는 8x10 half crosswise를 사용하고, 환자는 반엎으린자세나 선자세를 취하고 테이블면에 머리를 정측면 자세로 하고 몸은 사위로 하여 검사반대측의 손과 무릎으로 환자의 몸을 지지하게 한다. 중심선은 턱관절을 향해 발쪽으로 25~30도 기울여 반대쪽 바깥귀길 위쪽 5cm, 앞쪽 2.5cm 지점을 향하여 입사한다. 촬영 point는 검사측의 턱관절과 검사반대측 턱관절이 중복되지 않고, 높은 대조도로 촬영되어야 한다. 양측 바깥귀길(외이도)에서 앞으로 2.5cm 지점에 표시를 하고, 머리를 측면으로 해서 촬영측을 대고 카세트 중앙에 표시한 점이 오게 한다. 환자의 머리는 테이블면에 정중면이 평행되게 하고 동공간선이 수직되게 조정한다. 양측을 비교하기 위해 양측모두 같은 상태에서 촬영해야 한다. 촬영측 TM joint가 촬영 반대측 TM joint와 겹치지 않아야 하고, 입을 다물 자세(close mouth position)에서 턱관절돌기(하악과)가 턱관절오목(mandibular fossa) 내에 위치하고, 입을 벌린 자세(open mouth position)에서 턱관절돌기(하악과)가 관절결절(articular tubercle)아래에 투영되고 있는지 확인이 가능하다.

TM Joint axiolateral

반응형

'지식을 쌓아가는 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Esophagography  (0) 2022.01.10
Scapula AP,LAT  (0) 2022.01.07
Abdomen Supine,Erect  (0) 2022.01.01
Chest apical lordotic, Decubitus  (0) 2021.12.29
Pevis axial,Hip joint axiolateral  (0) 2021.12.26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