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식을 쌓아가는 일

Scapula AP,LAT

by 우주가득 2022. 1. 7.
반응형

1. Scapula AP(anteroposterior) Projection= 어깨뼈(견갑골) 전후방촬영

촬영목적은 scapula fracture, infrathoracic dislocation of scapula(어깨뼈의 흉부 내 탈구), glenoid fossa fracture of scapula, acromion and coracoid process of scapula 등이 있다. Film size는 10x12 lengthwise를 사용하고, 환자는 선자세나 앉은자세로 검사쪽 등을 카세트면에 붙이고 scapula를 lung field(폐야)로 부터 분리하기 위해 humerus를 90도 abduction 시키고 elbow joint를 90도 flexion 시킨다. 중심선은 검사측의 어깨뼈(견갑골) 중앙부를 향하여 카세트면에 대해 직각으로 입사한다. 촬영point는 어깨뼈와 위팔뼈머리(상완골두)가 분리되어 나타나고 어깨뼈의 변연이 명료하게 촬영되어 있어야 한다. 촬영은 호기에서 하는 것이 좋다. 어깨뼈는 매우 얇은 뼈이므로 허파혈관, 갈비뼈가 장애음영이 되어 밀도를 나타내기 힘들다. 청년기에는 어깨뼈의 뼈끝핵이 골절선으로 잘못 보이는 일도 있으므로 주의를 요한다. 조사야 범위는 어깨뼈를 중심으로 외피 2~4cm 정도를 포함하는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어깨뼈를 허파(폐야)에서 제외할 목적으로 촬영 반대측을 카세트에서 떨어진 사위 20도로 촬영하는 경우도 있다. 평가 기준으로는 collimation field의 위·아래 모서리 높이는 5cm에 위치해야하고, scapula의 안쪽 모서리는 폐야에 약간 겹쳐서 나타난다. 또 bony margin(뼈 경계)과 trabecular marking은 선명하게 나타나야 한다.

Scapula AP

1.위팔뼈머리(상완골두,head of humerus)   2.부리돌기(오훼돌기,coracoid process)

3.빗장뼈(쇄골,clavicle)   4.어깨뼈안쪽각(견갑골내측각,medial angle of scapula)

5.접시오목(관절와,glenoid cavity)   6.안쪽모서리=척주연(내측연,medial border=vertebral border)

7.가쪽모서리=액와연(외측연,lateral border=axillary border)   8.어깨뼈아래각(견갑골하악,inferior angle of scapula)

 

2. Scapula Lateral Projection= 어깨뼈(견갑골) 측면촬영

촬영목적은 scapula fracture, dislocation of glenohumeral joint 등을 관찰 할 수 있다. Film size는 10x12 lengthwise를 사용하고, 환자는 선 자세 또는 앉은 자세로 하고, 검사측 어깨의 가쪽은 카세트면에 붙이고 어깨뼈뒤쪽모서리(견갑골후연)를 카세트면에 대해 100도가 되는 사위로 한다. 팔은 안쪽회전(내전)하고 손바닥은 촬영 반대측의 어깨를 잡는 자세를 취한다. 중심선은 어깨뼈 상부를 향하여 카세트면에 대해 직각으로 입사한다. 촬영point는 어깨뼈 가쪽모서리(외측연)의 중앙에 안쪽모서리(내측연)가 겹쳐져 나타나고 어깨뼈 앞면의 접선상, 가슴우리뒤쪽면(흉곽후면)의 갈비뼈도 관찰할 수 있어야 한다. 부리돌기(오훼돌기)와 봉우리(견봉)의 전체적 외관은 Y자형이지만 갈비뼈모서리(늑골연)와는 완전히 분리되어 위팔뼈(상완골)와 겹쳐지지 않도록 촬영되어 있어야 한다. 부리돌기와 봉우리는 복잡한 구조와 전후의 간격이 있어서 아주 적은 자세의 차이로도 나타나는 영상이 달라지므로 자세에 특히 주의를 요한다. 어깨뼈가시뒤쪽모서리(견갑극후연)를 카세트면에 100도로 하는 것은 어깨뼈몸통(견갑골체부)을 카세트면에 직각으로 위치시키기 위해서이며 어깨뼈안쪽모서리(견갑골 내측연)와 카세트면을 평행으로 유지시키는 것은 어깨뼈를 가쪽방향으로 하기 위해서이다. 평가기준은 scapula의 가쪽모서리와 안쪽 모서리가 겹쳐서 나타나야 한다. humerus head를 통하여 acromion과 coracoid process가 Y 형태로 나타나야 한다. scapula가 humerus와 겹치지 않도록 조정되어야 하고, bony margin과 treabecular marking은 선명하게 나타나야 한다.

 

※ 전방탈구(anterior dislocation)가 의심되는 X선 영상은 가시돌기 바로 밑에 위팔뼈머리(상완골두)가 위치하고 이와 반대로 견봉 아래에 위치하면 후방탈구(posterior dislocation)를 의심할 수 있다. 정상적인 X선 영상에는 위팔뼈머리가 'Y'자에 걸쳐서 보인다. 그러나 촬영자세가 정확하지 않아 몸이 회전된 상태로 잘못 촬영되면 진단에 혼란을 가져올 수 있어 신중하게 촬영자세가 요구된다. <환자가 사고로 인하여 자세가 용이하지 못하면 누운 자세에서 '전후사방향촬영(anteroposterior oblique projection)'을 실시할 수 있다.

Scpula LAT

1.봉우리(견봉,acromion)  2.부리돌기(오훼돌기,coracoid process)

3.위팔뼈(상완골,humerus)  4.어깨뼈몸통(견갑골체,body of scapula)

5.어깨뼈아래각(견갑골하각,inferior angle of scapula)

반응형

'지식을 쌓아가는 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UGI  (0) 2022.01.15
Esophagography  (0) 2022.01.10
Mandible PA·PA axial,AP Axiolateral OBL/TM Joint Axiolateral  (0) 2022.01.04
Abdomen Supine,Erect  (0) 2022.01.01
Chest apical lordotic, Decubitus  (0) 2021.12.29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