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식을 쌓아가는 일

PNS Waters,Caldwell,LAT

by 우주가득 2021. 12. 10.
반응형

1. ParaNasalSinus PA(PosteroAnterior) Projection=Waters Method=코곁굴(부비강) 후전 촬영

촬영목적은 외상에 의한 골절, 염증, 종양 등에 의한 얼굴뼈, 이마굴, 위턱굴 등의 병변의 유무를 관찰한다. 환자는 엎드린 자세나 앉은 자세를 취하여 몸의 정중면을 촬영대나 수직격자장치의 중심선에 맞춘다. 머리의 정중시상면을 카세트면에 직각으로 한다. 아래턱뼈(하악골)를 카세트면에 붙이고, 안와이공선이 카세트면에 37도가 되도록 턱의 끝으로 지지한다. 카세트 중앙에 비극점이 오도록 한다. 중심선은 코끝점(비극점,acanthion)를 향해서 카세트면에 직각으로 입사하고, 촬영 point는 바위모뿔(추체)상연이 위턱굴 하연에, 이마굴 또는 코중격이 얼굴뼈 중앙에 나타나고, 위턱굴이 머리뼈 바닥과 중복되지 않고, 위턱굴의 윤곽이 선명하게 촬영되어 있어야 한다. 머리가 일그러져 있는 환자는 정중시상면이 카세트면에 직각으로 촬영되지 않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엎드린 자세가 곤란한 환자는 누운 자세에세 가능한 한 아래턱뼈를 들어올리고, 카세트면에 OML이 37도가 되도록 중심선을 경사시켜 촬영하면 된다.

PNS Waters Method

1.이마굴(전두공,frontal sinus)  2.눈확(안와,orbit)

3.벌집뼈벌집(사골봉소,ethmoidal air cells)  4.코중격(비중격,nasal septum)

5.코선반(비갑개,nasal concha)  6.광대뼈(협골,zygomatic bone)

7.위턱굴(상악동,maxillary sinus)  8.꼭지벌집(유돌봉소,mastoid air cells)

 

2.ParaNasalSinus PA(PosteroAnterior) axial Projection=Caldwell Method=코곁굴(부비강) 후전 축방향 촬영

촬영목적은 외상에 의한 골절, 염증, 종양 등에 의한 얼굴뼈(안면골), 코안(비강), 이마굴(전두동), 위턱굴(상악동), 벌집굴(사골동) 등의 병변의 유무를 관찰한다. 환자는 엎드린 자세나 앉은 자세를 취하여 몸의 정중면을 촬영대나 수직격자장치의 중심선에 맞춘다. 머리부의 정중시상면을 카세트면에 직각으로 한다. 코와 이마를 카세트면에 붙이고, 안와이공선(OML)이 카세트면에 직각이 되도록 아래턱(하악)을 끌어당긴다.  이마굴과 전벌집굴을 보기위해서는 코뿌리점을 향해 OMLD에 15도(GML에 23도) 발쪽으로 입사한다. 촬영 point는 관자뼈(측두골) 바위모뿔부(추체부)가 눈확(안와)내에 나타나고 얼굴뼈가 좌우대칭으로 촬영되어 있어야 한다. 이마굴과 위턱굴은 선명하게 촬영되지만 나비굴(접형골동), 벌집굴, 비중격은 겹쳐서 촬영된다. 코곁굴(부비강)내에 고인 고름 등을 관찰하기 위해서는 앉은 자세 또는 서 있는 자세에서 촬영해야 한다. 코곁굴은 함기를 수반한 영역이어서 머리뼈 후전방향에 비해 촬영조건을 낮게 설정할 필요가 있다.

PNS Caldwell Method

1.바위능선(petrous ridge)  2.이마굴(전두공,frontal sinus)

3.눈확(안와,orbit)  4.꼭지벌집(유돌봉소,mastoid air cells)

5.위턱굴(상악동,maxillary sinus)  6.코중격(비중격,nasal septum)

7.코선반(비갑개,nasal concha)  8.갈고리 돌기(근돌기,coronoid process)

9.아래턱뼈(하악골,mandible)

 

3.ParaNasalSinus Lateral=코곁굴(부비강) 측방향 촬영

촬영목적은 외상성 골절, 염증, 종양에 의한 얼굴뼈(안면골), 인두, 이마굴(전두동), 위턱굴(상악동), 벌집굴(사골동), 나비굴(접형골동) 등의 병변유무를 관찰한다. 환자는 반엎드린 자세나 수직격자장치 앞에 사방향으로 앉게 한다. 머리뼈의 정중시상면을 카세트면에 평행으로 하고, 동공간선이 수직되도록 하고 IOML이 필름횡축에 평행이 되도록 하며, 검사측의 측두개부를 카세트면에 붙인 자세를 취한다. IOML에서 가쪽눈구석과 바깥귓구멍(외이공)의 중점을 향해 카세트면에 직각으로 입사한다. 코곁굴 촬영을 위해서 검사 반대측 가쪽눈구석에서 뒤로 1.3~2.5cm 지점에 수직으로 입사한다. 촬영 point는 위턱굴이 바른 측면상으로 나타나고, 인두, 벌집굴까지 선명하게 촬영되어야 한다. 후전축방향촬영, Waters법, 측방향촬영의 3가지 촬영법에 의해 전부코안의 형태를 관찰할 수 있다. 어린이 두개부고정은 두정 및 아래턱의 두군데를 누르면 정확한 자세를 취하기 쉽다. 또 고령자는 목의 회전이 곤란하므로 앉아서 상체를 머리뼈에 맞추어 비스듬히 하고 촬영하면 된다. 이 촬영법은 촬영조건에 대해서 통상의 머리뼈측면 촬영시간의 반으로 하고 코곁굴 속을 충분히 관찰 할 수 있는 농도가 되게 한다. 코곁굴에서 존재한 농즙 등의 상태를 관찰하기 위해 앉는 자세나 선 자세로 촬영해도 된다.

PNS LAT

1.이마굴(전두동,frontal sinus)  2.앞머리뼈우묵(전두개와,anterior cranial fossa)

3.안장(sella turcica)  4.눈확(orbit)

5.나비굴(접형골동,sphenoid sinus)  6.위턱굴(상악동,maxillary sinus)

7.인두(pharynx)  8.단단입천장(hard plate)

반응형

'지식을 쌓아가는 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C-Spine AP,LAT  (0) 2021.12.12
Mastoid Air Cell Stenverse,Henschen,Schuller,Lysolm,Law  (0) 2021.12.11
Skull LAT,SMV  (0) 2021.12.09
Skull AP,PA,AP Axial  (0) 2021.12.08
Pelvis AP,OBL,LAT,Frog-Leg  (0) 2021.12.07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