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Skull Lateral Projection=머리뼈(두개골) 측방향 촬영
촬영목적은 촬영측의 머리뼈가 잘 관찰되며 안장(터어키안, sella trucica), 앞침대돌기(전상돌기, anterior clinoid process), 뒤침대돌기(후상돌기, posterior clinoid process), 안장등(안배, dorsum sellae) 및 나비뼈날개(접형골익 wing of sphenoid bone)를 잘 볼 수 있다. 외상에 의한 머리뼈 골절, 뼈의 비후, 파괴같은 머리내 질환에 의한 병변, 두개봉합의 분리, 지압흔의 증가, 혈관구의 확대, 터어키안의 변화, 솔방울샘 석회화상의 편위, 이상 석회화상 등 병변의 유무를 관찰한다. 촬영자세는 환자는 반쯤 엎드린 자세(semiprone position)나 앉은 자세를 취하고 검사측의 관자뼈(측두개) 부분을 테이블면에 붙인다. 안와하이공선(IOML)이 카세트면의 횡축에 평행이 되도록 하고 정중시상면은 테이블면에 평행이 되도록 하며, 동공간선(IPL)은 필름과 수직되게 한다. 전체 머리뼈가 포함되어야 하며 턱뼈가지(하악지 mandibular rami), 눈확위벽(안와상벽 root of orbit), 꼭지돌기(유양돌기, mastoid process), 바깥귀길(외이도 external auditory meatus), 턱관절은 완전히 겹쳐야 한다. 안장은 회전되지 말아야 하며, 회전유무는 좌우앞침대돌기와 뒤침대돌기가 겹쳐서 나타나고 안장바닥(터어키안저부, base of sella trucica)이 면이 아닌 선으로 나타나야 한다. 일반적 검사시 중심선은 바깥귀길 상단 5cm점을 수직으로 통과하여야 하고, 터어키안이 중심일 경우 바깥귀길에서 위로 2cm, 앞으로 2cm되는 점을 통과해야 한다. 촬영 point는 머리뼈 전체가 선명하고, 터어키안(sella turcica), 앞머리뼈우묵(전두개와, anterior cranial fossa)가 바른측면상으로 촬영되어 머리뼈봉합(두개봉합), 혈관구가 잘 나타나야 한다. 터어키안은 바깥귓구멍에서 앞 방향으로 2cm, 상방향으로 2cm의 점이 기준이 된다. 엎드린 자세에서 머리르 측면으로 하는 것은 환자에 있어 불안정한 자세이므로 검사반대측의 손을 카세트의 옆에 두고 감사측의 팔을 몸옆으로 펴서 몸을 조금 기울이고 아래턱밑에 보조구 등을 대어 환자가 편하게 안정한 자세를 취하도록 한다. 이 자세가 곤란한 경우 환자를 누운 자세로 하고 머리뼈의 정중시상면을 촬영대에 평행이 되도록 한다. 검사측을 카세트면에 붙이고 중심선을 검사반대측으로 수평입사시켜 촬영하면 된다. 석회화상에는 생리정인 정상영상과 병적인 영상이 있는데, 생리적인 정상영상의 출현부위로는 솔방울샘(송과체), 맥락얼기(맥락총), 상시상동벽, 지주막(거미막)과립, 대뇌낫(대뇌겸) 등이 있다. 뇌종양에서는 일반적으로 양성으로 만성경과를 보낸 사람에게 많이 보이며 수막종(meningioma), 성세포종(astrocytoma), 선천성종양, 두개인두종 등이 있다. 석회화상의 출현부위로 종양의 존재를 알 수 있다.
1.시옷자봉합(람다봉합,lambda suture) 2.꼭지벌집(유돌봉소,mastoid air cells)
3.바깥귀길(외이도,external auditory meatus) 4.안장등(안배,dorsum sellae)
5.안장(터어키안,sella turcica) 6.앞침대돌기(전상돌기,anterior clinoid process)
7.나비굴(접형골동,sphenoid sinus) 8.앞이마뼈우묵(전두개와,anterior cranial fossa)
9.이마굴(전두동,frontal sinus) 10.위턱굴(상악동,maxillary sinus)
11.단단입천장(경구개,hard palate) 12.턱뼈각(하악각,angle of mandible)
2. Skull Submentovertical Projection=머리뼈바닥-턱뼈머리촬영=Schuller법(턱뼈머리 정방향촬영)
촬영목적은 바위모뿔(추체), 꼭지돌기, 귀인두관(이관, eustachian tube)의 골성부, 타원구멍(난원공)과 가시구멍(극공), 나비굴(접형골동), 아래턱뼈(하악골), 축추의 치돌기와 외상성 질환, 종양에 의한 머리뼈 가장 자리, 큰구멍주변, 바위모뿔부의 머리내 병변의 유무를 관찰한다. 환자는 바로 누운 자세나 앉은 자세를 취하고, 어깨 아래에 보조구를 받치고 양어깨를 카세트면보다 높게 한다. 가능한 아래턱을 위로 들어 두정부를 카세트면에 붙인다. 정중선이 카세트면에 수직되게 조정한다. 이 촬영법의 성공여부는 안와하이공선이 필름면에 거의 평행으로 놓을 수 있는지 또한 중심X선을 안와하이공선에 수직으로 줄 수 있는가에 좌우된다. 촬영point는 머리뼈가 좌우대칭으로 촬영되고 바위부, 타원구멍과 가시구멍이 선명하게 묘사되어 나비굴과 큰구멍을 식별할 수 있어야 한다. 촬영시 아래턱을 들어올린자세가 시간이 흐름에 따라 낮아 질 수가 있기 때문에 자세를 정확하게 맞춘 후 80~85kV 정도의 관전압에서 단시간 촬영할 필요가 있다.
1.위턱굴(상악동,maxillay sinus) 2.나비굴(접형골동,sphenoid sinus)
3.큰구멍대후두공,petrous pyramid) 4.벌집굴(사골동,ethmoid sinus)
'지식을 쌓아가는 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stoid Air Cell Stenverse,Henschen,Schuller,Lysolm,Law (0) | 2021.12.11 |
---|---|
PNS Waters,Caldwell,LAT (0) | 2021.12.10 |
Skull AP,PA,AP Axial (0) | 2021.12.08 |
Pelvis AP,OBL,LAT,Frog-Leg (0) | 2021.12.07 |
Knee PA Axial, Patella AP or PA Tangential (0) | 2021.12.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