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경피적 신루설치술(PerCutaneous Nephrostomy)
요로협착이나 폐쇄 또는 감염이 있는 경우 콩팥의 집합계에 직접천자 방법으로 배액도관(drainage catheter)을 삽입하여 인위적으로 배뇨시킬 목적으로 시행하며 95%의 성공률과 합병증이 거의 없기 때문에 최근에는 외과적 수술을 대체하여 많이 시술 되고 있다. 검사목적은 역행적으로 배액도관을 삽입할 수 없는 환자, 요관의 폐쇄가 콩팥부전으로 이행되거나 패혈증이 우려되는 경우에 이를 완화시켜 주기 위해, 요로폐쇄 및 요관샛길 환자, 종양의 전이에 의한 요관협착 환자의 배뇨를 위한 배액도관(stent) 삽입을 위해, 돌(결석) 제거를 위해, 콩팥종양(renal cancer)과 콩팥낭포(renal cyst)의 감별목적인 생검(biopsy)을 하기 위해이다.
검사방법은 환자는 엎드린 자세(pronation)를 취하게 하고 투시나 초음파 상에서 China needle(22G)을 사용하여 콩팥깔때기에 천자한다. Chiba needle에 주사기를 연결한 후 흡입하여 소변의 배출을 확인한다. 정확한 천자를 확인하기 위하여 투시 상에서 3~5mL의 수용성 조영제를 주입하고 콩팥깔때기, 요관 등의 형태 및 폐쇄부위의 원인과 범위를 관찰하면서 투시 중 촬영 한다. 안내철심(guide wire)과 확장기구(dilator)를 이용하여 배액 catheter의 삽입통로를 확장한다. 신루설치술용 배액 catheter(pig tail type)를 삽입하는 외류법이나 콩팥창냄-요관창냄 스텐트(double J type stent)를 설치하는 내류법으로 소변을 배출시킨다. 설치완료 후 소변의 배출을 확인하고 천자부위의 배액 catheter가 빠지지 않도록 고정기구를 사용하여 고정한다(외류법 이용). 고정 여부를 확인하고 KUB 촬영을 한다. 시술이 완료된 후 외류법인 경우에 환자나 보호자에게 배액의 관리방법을 설명한다. 주의 및 참고사항으로는 대부분 외류법으로 PCN을 시행하기 때문에 몸밖으로 노출된 배액 catheter의 관리에 유의해야 하며 환자나 보호자가 관리해야 하는 사항들이 있다. 몸밖으로 노출되어 있는 배액 catheter가 빠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감염방지를 위하여 배액 catheter와 그 주위를 규칙적으로 소독해야 한다. 배액 catheter내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3일에 1회씩 멸균된 주사기를 사용하여 10mL 정도의 생리식염수로 관의 내부를 세척해야 한다. 배액 catheter는 3~4개월 간격으로 교환해야 하며 그 기간 내에 문제가 있으면 즉시 담당 주치의와 상의해야 한다.
'지식을 쌓아가는 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VCUG (0) | 2022.09.05 |
---|---|
Cystography (0) | 2022.09.04 |
AGP (0) | 2022.09.02 |
DIP, RSP (1) | 2022.09.01 |
RGP (0) | 2022.08.3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