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배뇨중 방광요도조영술(Voiding CystoUrethroGraphy)
조영제를 방사성 불투과성 조영제로 방고아을 채우고, 방광 등을 방사선 촬영하는 검사이다. 형광 투시경 혹은 방사선 촬영으로 조영제를 방광에 채운 후에 배뇨를 하면서 조영제가 배설되는 과정을 관찰할 수 있다. 골반종양 혹은 혈종이 있으면, 외부에서 방광을 압박하거나 방광의 모양이 왜곡되어 나타난다. 방광에 외상이 있을 때 배막으로 조영제가 새어나간다. 방광요관 역류는 지속적 콩팥깔때기콩팥염을 일으키는데, 이러한 현상도 방광조영술 중에 발견할 수 있다. IVP를 통해 방광을 관찰할 수 있지만 원발성 병리적 방광상태는 방광조영술에서 가장 잘 관찰 할 수 있다. 검사의 유용성은 아동의 경우 요로감염이 있을 때, 성인의 경우 반복되는 요로감염 시 실시한다. 형광투시경 혹은 방사선촬영으로 조영제를 방광에 채운 후에 배뇨를 하면서 조영제가 배설되는 과정을 관찰한다. 요실금을 유발시키는 저긴장성 혹은 고긴장성 방광의 신경탓방광의 진단에 도움이 된다. 성인과 어린이의 방광-요관 역류를 진단하기 위해 검사한다.
검사목적은 방광요관역류와 신경탓 방광환자에서 아래요로계의 배뇨기능과 형태학적 이상을 관찰하고 배뇨과정에서의 방광목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시행한다. 뒤요도판막, 요도곁주머니, 잔뇨, 방광과 질의 샛길, 방광과 잘록창자의 샛길을 관찰한다. 콩팥이식수술이 예정된 환자도 시행한다. 어린이는 생후 1년에서 2년 사이에서 요로계 기형이 요로감염의 주요 원인이다. 어린이에서 요로감염을 그대로 방치하면 고혈압과 콩팥부전의 주요원인이 된다. 전처치는 검사 전 배뇨하여 소변과 주입된 조영제의 희석이 없도록 한다. 검사방법은 환자의 협조를 위해 검사에 대해 충분한 설명을 하고 KUB로 단순촬영을 실시한다. 바깥요도구멍 주위를 소독한 후 foley catheter를 방광에 삽입하여 조영제을 주입할 수 있도록 한다. 환자로부터 약 100cm 높이의 조영제가 담긴 용기와 방광에 삽입된 catheter를 연결하여 중력을 이용하여 배뇨를 느낄 때까지 방울주입 한다. 방광에 조영제가 충만되면 삽입된 catheter를 제거하고 방사선투시로 관찰하며 충반상태에서 투시 중 정면촬영과 양쪽 사방향 촬영 및 측방향 자세로 촬영하여 방광의 이상 유무를 확인한다. 긴장한 여자 환자나 어린이, 신경탓방광 환자 등의 경우 배뇨가 쉽지 않으므로 방광을 손으로 압박하거나 검사실의 조명을 낮추는 등의 방법으로 수검자를 편안하게 하여 배뇨를 유도해야 한다. 배뇨중 방사선투시에서 방광요관역류가 발견된 경우 역류된 조영제가 방광으로 내려가기 전에 재빨리 촬영하도록 한다. 충만상으로 촬영이 끝나면 배뇨 중에 정면촬영과 양쪽 사방향을 촬영한다.
'지식을 쌓아가는 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MBCCU (0) | 2022.09.07 |
---|---|
RGU (0) | 2022.09.06 |
Cystography (0) | 2022.09.04 |
PCN (0) | 2022.09.03 |
AGP (0) | 2022.09.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