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식을 쌓아가는 일

Skull AP,PA,AP Axial

by 우주가득 2021. 12. 8.
반응형

1. Skull AP(AnteroPosterior) Projection=머리뼈(두개골) 전후방향촬영

촬영목적은 외상에 의한 머리뼈 골절, 뼈의 비후·파괴와 같은 머리내 질환에 의한 병변, 두개봉합의 분리, 지압흔의 증가, 혈관구의 확대, 그 위에 솔방울샘 석회화상의 편위, 이상석회화상 등 병변의 유무를 관찰한다. 촬영자세는 환자는 바로 누운 자세(supine)나 앉은 자세(sitting)를 취하여 몸의 정중면(MSP)이 촬영대의 중심선에 오도록 한다. 환자의 양팔은 편한 위치에 놓고 양 어깨가 동일한 횡단면에 놓이도록 조정한다. 환자의 머리를 조정하여 정중면이 cassette의 중심선과 수직이 되도록 하고 머리를 충분히 당겨서 눈확이공선(OML)이 카세트면에 수직이 되도록 한다. 중심선은 코뿌리점(비근점, nasion)을 향해 cassette면에 직각으로 입사한다. 촬영 point는 눈확위모서리(안와상연)와 바위모뿔(추체)모서리가 중복되어 뇌머리뼈(뇌두개, cerebral cranium)가 넓게 촬영되어야 한다. 머리뼈가 좌우대칭으로 촬영 되도록 정확한 자세를 취하게 한다. 촬영 중에 움직임이 예상되는 환자는 머리뼈가 고정될 수 있는 보조구를 사용하면 좋다. 환자의 하악을 충분히 끌어당길 수 업을 경우 중심선이 OML과 평행이 되도록 발쪽으로 기울여서 촬영한다. 석회화상, 뼈의 비후, 봉합분리 등도 관찰하므로 관전압을 너무 올리는 것을 피하고 70kV 정도로 촬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속귀길과 내이공의 확대는 거의가 청신경초종에 의해 일어나고 극히 드물게 수막종과 동맥류에 의해 일어날 때가 있다. 해면정맥동부의 내경동맥의 큰 동맥류에서는 종종 터어키안저를 압박하여 안쪽으로 편위를 일으킨다. 어린이의 두개부X선 영상에서는 봉합부의 분리, 탈석회화에 의한 지압흔의 증가, 터어키안의 파괴 및 변형, 앞침대 및 뒤침대돌기의 파괴, 뼈의 비후, 솔방울샘의 석회화상 등을 관찰한다. 그 때문에 촬영관전압을 낮게 하고 격자를 사양하지 않으며, 단시간 촬영을 한다. Frontal bone을 관찰 할때: object center를 향해 수직으로 주고, skull의 일반적인 검사: object center를 향해 caudal(발방향)15도 주고, superior orbita fissure of orbit: object center를 향해 caudal(발방향)20~25도 주고 촬영을 한다.

Skull AP

1.시옷자봉합(람다봉합,lambda suture)  2.이마뼈(전두골,frontal bone)

3.이마굴(전두동,frontal sinus)  4.바위능선(추체능,pyramidal ridge)

5.벌집굴(사골동,ethmoid sinus)  6.꼭지벌집(유돌봉소,mastoid air cells)

7.코중격(비중격,nasal septum)  8.코선반(비갑개,nasal concha)

9.위턱굴(상악동,maxillary sinus)  10.아래턱뼈(하악골,mandible)

 

2. Skull PA(PosteroAnterior) Projection=머리뼈(두개골) 후전방향촬영

촬영목적은 외상에 의한 머리뼈, 얼굴뼈의 골절, 머리뼈덮개(두개관)의 전벽과 측벽, 관자와 코곁굴안의 액체저류의 유무, 볏돌기, 논확의 상부 2/3와 눈확음영의 하부 1/3내에 투영되는 바위능선을 관찰한다. 촬영자세는 환자는 엎드린 자세(prone position)나 앉은 자세를 취한다. 양손을 cassette의 양단에 놓고 정중시상면(Median Sagittal Plane)을 cassette면에 직각으로 한다. 아래턱을 당겨 OML이 cassette면에 직각이 되도록 하고 코뿌리점(비근점,nasion)이 중심이 되도록 한다. 중심선은 이마뼈(frontal bone)검사가 목적인 경우에는 nasion을 향해 fim에 직각으로 입사한다. 촬영 point는 머리뼈가 좌우대칭으로 묘사되며, 눈확위모서리와 바위위능선이 겹쳐져 눈확내에 속귀길이 촬영되어 있어야 한다. 전흉부에 스펀지 등의 보조구를 대면 턱을 당기기 쉬워지고 머리는 코와 이마로 고정해야 정확한 자세를 취할 수 있다. 엎드린 자세가 무리인 환자는 앉아서 또는 서서 촬영해도 된다. 아래턱을 충분히 끌어당길 수 없을 경우네는 중심선을 OML에 평행이 될 때까지 발쪽으로 기울여서 촬영한다.

Skull PA

*Skull AP와 PA의 차이점은? 눈확의 확대

 

3.Skull AP(AnteroPosterior) Axial Projection=머리뼈(두개골) 전후 축방향촬영=Towne법 또는 Grashey법

촬영목적은 외상에 의한 머리뼈 골절이나 큰구멍(대후두공)안에 투영된 안장등(안배, dorsum sellae)과 뒤침대돌기(후상돌기, posterior clinoid process), 바위모뿔(추체, petrous pyramid)와 뒤통수뼈 등을 관찰한다. 촬영자세는 환자는 바로 누운자세나 앉은 자세를 취하며 몸의 정중면과 촬영대의 중심선을 일치시킨다. 카세트면에 눈확이공선(OML)이 수직이 되도록 아래턱뼈(하악골)을 당겨 정중시상면을 촬영대면에 직각이 되도록 한다. 중심선은 양쪽바깥귓구멍 중점을 향해서 안와이공선에 대하여는 30도, 안와하이공선에 대하여 37도 각도로 발쪽으로 입사한다. 큰구멍과 목정맥구멍 전체를 보기 위해서는 발쪽으로 머리의 신전상태에 따라 40~60도 증가시킨다. 촬영 point는 머리뼈의 좌우가 대칭되게 하며, 큰구멍의 중심에 안장등이 선명하게 촬영되도록 한다. 움직임이 걱정되는 환자에는 관골부를 고정할수 있는 보조구를 사용하면 좋다. 하악을 충분히 끌어 당길 수 없는 환자는 IOML이 카세트면에 수직이 되도록 변화시키면 된다. 이때 중심선은 발쪽으로 37도 기울여 입사한다. 촬영조건은 관전압 70~75kV를 기준으로 머리뼈의 주변도 선명하게 촬영되도록 하며 과농도에 충분히 주의하도록 한다.

Skull AP Axial

1.시상봉합(sagittal suture)  2.뒤통수뼈(occipital bone)

3.큰구멍(대후두공, great magnum)  4.바위능선(추체능, pyramid ridge)

반응형

'지식을 쌓아가는 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PNS Waters,Caldwell,LAT  (0) 2021.12.10
Skull LAT,SMV  (0) 2021.12.09
Pelvis AP,OBL,LAT,Frog-Leg  (0) 2021.12.07
Knee PA Axial, Patella AP or PA Tangential  (0) 2021.12.06
Knee LAT,Weight bearing AP, Stress view  (0) 2021.12.05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