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식을 쌓아가는 일

PTC

by 우주가득 2022. 8. 25.
반응형

1.경피경간 담도조영술(Percutaneous Transhepatic cholangiograpphy)

 

 검사목적은 폐색성 황달환자의 폐색원인과 폐색부위 관찰, 쓸개돌이나 간, 이자 ,쓸개관계의 신생물로 인한 쓸개관계 폐색환자에 있어서 수술 전 최종확인을 위해 검사를 한다. 경피경간 담즙배액술(PTBD)을 하기 전 선행단계로 시술하기도 한다. 금기사항으로는 심장기능 상실, 콩팥기능상실, 호흡기능상실의 합병, 간종양, 복수환자는 주의해야 한다. 전처치로는 검사방법을 환자에게 설명하고 서약서를 작성한다. 검사 전 최소한 8시간 정도 공복을 유지한다. 18G needle을 이용하여 왼쪽 팔에 5% D/W 1,000cc를 정맥주사 한다. 시술 30분전에 진경제(valium 1amp)를 주사한다. 출혈성 검사를 한다. 특징은 입이나 정맥검사 또는 기타검사에서 쓸개관속 폐색성 황달 소견이 발견된 환자에게 피부를 통해 쓸개관속에 전자침을 이용하여 직접 조영제를 주입한 후 시행하는 검사이다. 일반적으로 폐색성 황달환자를 대상으로 내시경적 역행성 담도,췌관조영술로 검사가 어려울 경우에 시행한다. 쓸개관계 폐쌕으로 조영제의 통과가 안될 경우 경피경간 담도조영술만으로 종료하지 않고 대부분 경피경간 담즙 배액술을 연계하여 시행한다.

PTC

검사방법으로는 환자의 병력을 자세히 알아야 하여 상부위장조영술, 핵의학검사, 출혈성 검사등의 검사를 하며 PTC의 적응증을 알아보아야 한다. 검사 대방부위를 예비촬영 한다. 투시촬영대 위에 환자를 반듯이 눕히고 환자의 오른쪽 팔은 머리위로 올린다. 오른쪽 옆구리의 외과적 전처치를 하며 멸균처리 후 소독포를 덮는다. 환자를 리도카인으로 오른쪽 갈비뼈 사이를 국소마취하고 투시 또는 초음파 유도하에 needle을 이용하여 오른쪽 겨드랑이 중심선의 7~9번째 갈비뼈 사이를 천자하여 간 실질에 삽입시킨다. 배액을 목적으로 할 경우 초음파 유도하에 왼쪽 슬개관에 직접 천자하기도 한다. 투시 하에 주차침을 후퇴시켜 가며 항생제가 섞인 조영제를 주입하여 쓸개관내 천자가 확인되면 주사침을 고정한다.(필요에 따라 쓸개즙을 채취하여 병리 또는 미생물 검사를 가능한 많은 양을 배액 후 검사를 시행한다.) 투시 상에서 주사침이 동맥 내로 들어갔을 경우에는 조영제가 빨리 사라지는 모양이 보이고, 간실질 내에 있을 경우에는 조영제가 오래 머물러 있게 된다. 그리고 쓸개관 내로 들어갔을 경우는 쓸개관 자체가 천천히 조영되는 것으로 확인 할 수 있다. 조영제 주입을 서서히 하며, 샘창자로의 유입을 확인하면서 질환이 의심되는 부위를 spot촬영한다. 유입이 순조롭지 못하면 병리적 원인인가를 확인하고, 확인이 되지 않을 때에는 자세를 바꾸어 본다. 검사종료 후 쓸개즙 및 조영제를 제거하며 쓸개관 내의 압력을 낮춘 다음 추후 검사를 결정한다.

PTC

반응형

'지식을 쌓아가는 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PTCS  (0) 2022.08.27
PTBD  (0) 2022.08.26
ERBD  (0) 2022.08.23
ENBD  (0) 2022.08.22
EST  (0) 2022.08.2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