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정낭조영술(seminal vesiculography)
무정자증이거나 심한 정자감소증(oligospermia)을 보이지만 고환조직 생검에서 정상소견을 보이는 경우 정관의 폐쇄를 의심해야 하며 이 경우 정관조영술을 시행해 볼 수 있다. 정관조영술은 정관을 통하여 정관 먼쪽(방광쪽)으로 조영제를 주사하면서 촬영한다. 정고나에 이차적 폐쇄를 유발할 수 있는 침습적인 검사이기 때문에 최근에는 진단목적으로 단독으로 시행하지는 않는다. 대개 부고환정관문합술과 같은 수술적 치료를 결정하였을 때 수술실에서 시행하는 것이 보편적이다. 검사목적은 정낭의 만성염증, 사정관의 폐색, 강직성으로 인한 남자의 불임을 진단한다. 정낭의 크기와 형태를 알 수 있다. 정낭의 발육부전, 정관의 협착 및 폐색을 진단할 수 있다. 종양 및 전립샘암이 고환으로 침윤하였는지의 유무를 관찰할 수 있다. 검사방법은 환자는 바로 누운 자세를 취한다. 음낭 위를 절개하여 정관을 노출시킨다. 노출관 정관에 needle 또는 catheter를 삽입한다. 희석된 조영제 1~2cc를 서서히 주입한다. 조영제를 주입하면서 고환, 부고환, 정관, 정낭 부위를 투시 하게 관찰한다. 환자의 자세를 정면, 사방향으로 변환시키면서 필요한 부분을 저격 촬영한다. 조영제 주입 15~30분 후에 지연촬영하여 조영제의 배설상태를 확인한다. 영상평가로는 영상의 중심에 두덩결합 윗능선이 와야한다. 환자는 회전이 되어서는 안된다. 영상의 농도는 정낭부위를 잘 볼 수 있어야 한다. 사방향 촬영에서 들어올린 넙다리가 촬영부위와 겹쳐서는 안된다.
2. 음경해면체조영술(cavernosography)
검사목적은 남성 음경(penis)의 발기부전(erectile dysfunction)을 진단하기 위해 시행한다. 검사방법은 귀두의 1cm 위쪽 가장자리 해면체 cavity에 10시 방향 또는 2시 방향에 침을 삽입한다. 약 60cc의 묽은 조영제를 1분 정도에 걸쳐 주입한다.(환자가 고통을 호소하면 조영제 주입을 멈춘다) 전후방향 촬영과 사방향으로 촬영 한다. 조영제는 이온성 수용성 조영제로 이온을 갖고 있어 체내의 물질과 화학반응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으므로 혈관 이외의 관 등에 사용한다.(HSG와 VCUG 등에 사용된다) 준비물품은 scalp vein set, dressing set, 50cc syringe, surgical gloves 등이 있고, 영상평가는 영상의 중심에 두덩결합 윗부분이 와야 한다. 환자는 회전이 되어서는 안된다. 영상의 농도는 정낭부위를 잘 볼 수 있어야 한다. 사방향 촬영에서 들어올린 넙다리가 촬영부위와 겹쳐서는 안된다.
'지식을 쌓아가는 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Sialography (0) | 2022.09.11 |
---|---|
Vaginography (0) | 2022.09.10 |
HSG (0) | 2022.09.08 |
MBCCU (0) | 2022.09.07 |
RGU (0) | 2022.09.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