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타액선조영술(sialography)
해부학적 특징으로는 침샘(salivary gland)은 침을 분비하여 입안의 건조방지와 감염을 예방하는 역할을 한다. 침샘의 종류에는 귀밑샘(parotid gland), 턱밑샘(submandibular gland), 혀밑샘(sublingual gland)의 큰침샘과 입술샘, 볼샘, 입천장샘, 어금니샘, 혀샘의 작은침샘이 있어 점액, 장액, 혼합액을 분비하여 침을 이루게 된다. 침샘은 좌우 3쌍으로 구성되어 있다. 생리학적 특징은 1일에 약 1L가 분비되는 침은 음식물의 저작, 맛, 삼키기(deglutition)에 관여하고 프티알린(ptyalin) 이라는 탄수화물 분해효소가 있어 소화작용을 한다. 검사목적은 침샘의 감염성 병소부위와 암, 침샘샛길(salivary fistulae)의 범위, 곁주머니(diverticulum), 침샘관 협착과 결석(stone), 확장, 침샘과다분비 등을 진단하기 위해서 검사를 시행한다. 전처치는 특별한 전처치는 없으나 입안을 깨끗히 한다. 촬영전 준비물품은 sialoneedle or scalp vein set, 10cc syringe, 수용성 조영제, dressing set, surgical gloves 등이 있다.
검사방법은 검사하고자 하는 침샘을 중심으로 정면, 사방향 및 측면자세로 scout 촬영한다. 침샘구멍을 Bowman소식자로 누르면서 배출구를 확장시킨다. 침샘구멍에 침샘 검사용 needle을 삽입시키고 움직이지 않도록 입으로 물게 한다. 생리식염수와 조영제를 1:1로 희석하여 귀밑샘은 1.5~2.0mL, 턱밑샘 1.0~1.5mL, 혀밑샘에는 1.0mL를 서서히 주입한다. 침샘관-엽-소엽-샘꽈리로 진행하는 것을 투시하에서 관찰한다. 귀밑샘의 접선방향 촬영은 엎드린 자세로 필름의 중앙에 귀밑샘을 맞추며, 환자의 머리와 턱을 고정시키고 턱뼈가지와 필름의 장축에 평행이 되도록 머리를 조정한다. 중심선은 필름에 수직이 되게 하고 턱뼈가지의 외면을 따라 입사한다. 혀밑샘은 턱밑마루방향 자세가 되게하며 입을 벌리고, 중심선은 미간-이틀선과 제 2어금니 중간으로 입사되도록 입안촬영을 한다. 침샘의 폐색과 샘꽈리의 파괴유무를 관찰하기 위해 배출검사를 시행한다. 이 검사는 침샘에 병변이 있을 경우 배출기능이 장애를 받고 침샘이 손상받게되므로 이러한 변화들을 배출검사에서 더욱 잘 관찰할 수 있다. 배출검사는 레몬과 같은 신 음식을 섭취하고 10분 후 지연촬영을 하며 조영제의 배출여부를 관찰한다. 영상평가는 꼭지돌기는 귀밑샘의 윗 부분만 겹쳐야한다. 연부조직 농도가 나타나야한다. 측면 촬영에서 귀밑샘은 턱뼈가지와 겹쳐져야 잘 나타나며 목뼈와 겹쳐서는 안된다.
'지식을 쌓아가는 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Discography (0) | 2022.09.16 |
---|---|
Arthrography-2 (0) | 2022.09.15 |
Vaginography (0) | 2022.09.10 |
Seminal vesiculography, cavernosography (0) | 2022.09.09 |
HSG (0) | 2022.09.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