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식을 쌓아가는 일

MBCCU

by 우주가득 2022. 9. 7.
반응형

1. 금속사슬 방광요도조영술(Metallic Bead Chain CystoUrethrography)

 

 요실금 치료방법은 원인이 무엇이든 관계없이 골반 근육을 강화시키는 데에는 케겔 운동이 효과적이다. 출산으로 인해 발생한 경우에는 시간이 지나면서 근육 긴장도가 점차 회복된다. 이때 근육 군동을 꾸준히 하면 회복 속도가 빨라질 수 있다. 폐경 후 여성은 호르몬 대치요법을 권장할 만하다. 비만인 경우엔 체중을 줄여야 한다. 심한 경우엔 정상적인 방광 기능을 되찾기 위해 방광위치를 조정하고 지지 기능을 향상시키는 수술이 필요할 수도 있다. 케겔 운동법은 배나 엉덩근육은 사용하지 않고 항문과 질 및 요도를 조이는 운동이다. 조일 땐 방귀가 나오는 것을 참거나 배변을 중단시킬 수 있을 정도로 힘준다. 먼저 숨을 들이마시고 숨을 멈춘 뒤 항문 주위를 10초 동안 수축한 다음에 숨을 내쉬면서 10~15초 동안 이완시키는데, 15회 정도 하는 것이 1단계이다. 10초 동안 수축이 힘들면 1~3초의 수축과 이완을 하는 짧은 케겔운동을 먼저 시행한다. 하루에 3단계, 즉 45회의 항문근육 수축과 이완을 반복한다. 처음부터 무리하게 하지 말고 1단계, 2단계로 천천히 늘린다. 누운 자세 뿐만 아니라 서 있거나 앉아 있을 때도 가능하며 3~4개월 동안 계속하면 효과를 볼 수 있다.

투시장비

검사목적은 복압 요실금(stress incontinence)의 원인을 진단하기 위해서 시행한다. 요실금이 있는 여성에게 실시하며 요실금을 일으키는 해부학적 비정상(방광위치 이상, 방광근육의 수축이상, 염증 등)을 검사하는 방법이다. 요도방광뒤각(post urethrovesical angle: PUVA 90~100도)과 요도구멍의 위치를 이용하여 이상유무를 판단한다. 배 내부 압력의 증가로 인한 장축의 각도를 측정한다. 검사방법은 환자에게 검사방법 등을 충분히 설명한 후 KUB로 단순촬영(scout)을 실시한다. foley catheter를 방광에 삽입하고 조영제를 250~300mL 정도 주입한 다음 foley catheter를 제거한다. 조영제 주입 후 금속성 구슬줄을 핀셋을 이용하여 요도를 통해 방광목(bladder neck)까지 삽입하여 방광 내에 위치시키고 바깥 쪽 부분은 넙다리에 tape로 고정시킨다. 방사선 투시 하에 봥광의 위치와 금속성 구슬줄을 확인하고 환자의 자세와 상태를 변화시켜 가며 촬영한다. 조영제와 금속성 구슬삽입 후 환자를 선 자세(erect position)로 위치시키고 검사를 진행한다. 영상평가로는 선 자세 정면상과 측면상의 안정상태와 긴장상태의 영상에서 각각 요도방광뒤각(posterior urethrovesical angle: PUVA)을 측정하여 이상 유무를 평가한다. 선 자세의 측면 배뇨 시 금속성 구슬줄이 배뇨와 함께 빠져나오는지 확인한다.

scout

반응형

'지식을 쌓아가는 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Seminal vesiculography, cavernosography  (0) 2022.09.09
HSG  (0) 2022.09.08
RGU  (0) 2022.09.06
VCUG  (0) 2022.09.05
Cystography  (0) 2022.09.04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