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고관절강 조영술(hip joint arthrography)
해부학적 특징은 골반의 관절고랑 넙다리뼈머리 사이에 끼어 있는 관절로 팔의 어깨관절에 해당한다. 둥근 넙다리뼈머리가 관골구에 끼어 있다. 관골고랑은 관절오목은 그 둘레에 두꺼운 섬ㅇ성 연골의 관절테두리가 둘러싸고 굽힘과 폄, 모음과 과 벌림, 안쪽과 가쪽돌림 등 다축성 운동을 제한한다. 특히, 뒤쪽 굴곡에 대한 제한은 두드러져서 그 각도가 20도 정도이다. 엉덩관절뼈머리의 정점에서는 넙다리뼈머리 인대가, 관절오목의 주변에는 엉덩뼈넙다리 인대가 나와 있는데, 이들은 모두 관절운동을 제어한다. 팔찌두덩뼈주머니인대 등은 주로 관절주머니를 보강하고 있으며, 신체 중에서 가장 두껍고 강하다. 관절의 안쪽을 고리 모양으로 둘러싸는 인대와 바깥쪽으로 뻗어 있는 인대가 있는데, 이들 두꺼운 인대에 의해 관절오목은 보호되어 있다. 검사목적은 넙다리뼈머리(femur head)와 절구(acetabulum)의 연골 및 뼈의 상호관계를 알기 위함이다. 영상평가는 엉덩관절 중심으로 촬영한다. 질환이 있는 쪽의 다리를 30도 벌려(abduction) 전후방향이 될 수 있도록 한다.
3. 견관절강 조영술(shoulder joint arthrography)
해부학적 특징은 위팔뼈머리와 어깨뼈 관절오목 사이의 관절고랑으로 신체 관절 중 운동범위가 가장 넓어 전 후 운동 범위가 90~120도, 회전운동 범위가 90도 정도이다. 어깨뼈머리는 관절고랑의 1/3을 차지하며 윗쪽은 갈고리봉우리인대, 갈고리위팔인대, 바깥쪽은 세갈래근, 뒷쪽은 가시위근, 가시아래근, 작은원근 등으로 지지되어 있다. 생리학적 특징은 위팔뼈머리, 결절사이힘줄집, 위팔두갈래근장두의 힘줄, 어깨뼈의 관절오목, 관절주머니 등으로 이루어졌다. 그 운동은 다축성이어서 인체 중 가동성이 가장 큰 관절이다. 다리의 엉덩관절에 해당하는데 그보다는 관절오목이 얕기 때문에 운동성은 크지만 탈구되기 쉽다. 검사목적은 근육둘레띠(rotator cuff) 파열 진단, 유착관절낭염(adhesive capsulitis), 반복 탈구환자의 조직 손상 정도 등이 있고, 검사방법은 바로누운 자세에서 부리돌기를 중심으로 어깨관절 정면과 축방향에서 scout촬영을 한다. 천자부위를 소독하고 국소마취한다. 어깨관절의 천자부위를 확인하고 수용성 조영제 3mL와 공기 10mL를 주입하고 주사침을 제거한다. 관절운동을 하여 관절안에 조영제를 혼합시킨다. 투시상을 관찰하면서 촬영한다. spot촬영(선 자세에서 안쪽돌림,가쪽돌림/ 바로누운 자세에서 안쪽돌림, 가쪽돌림/ 축방향촬영, 접선방향촬영)을 시행한다. 영상평가는 검사하고자 하는 부위와 조영제를 잘 나타나게 하려면 적절한 촬영조건이 되어야 한다. 관절운동이 적절하게 되어서 조영제가 관절안에 혼합되어 있어야 한다. 검사하고자 하는 부위는 조사야 중앙에 위치되어야 한다.
'지식을 쌓아가는 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Myelography (0) | 2022.09.17 |
---|---|
Discography (0) | 2022.09.16 |
Sialography (0) | 2022.09.11 |
Vaginography (0) | 2022.09.10 |
Seminal vesiculography, cavernosography (0) | 2022.09.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