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식을 쌓아가는 일

SBS

by 우주가득 2022. 1. 17.
반응형

1. Small Bowel Series= 소장 조영술

작은창자는 위의 날문에서 시작하여 복강속을 굴곡하며 돌아 내려가 오른 아래배의 막창자(맹장)에 이르는 원주상의 긴 기관으로 길이는 약 7미터이고 지름은 빈창자 1.8cm, 돌창자 1.7~2.4cm 정도이다. 작은창자의 기계적 소화는 꿈틀운동, 분절운동 및 흔들운동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화학적 소화는 쓸개즙, 이자액 및 장분비액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이자액의 소화력이 가장 강하다. Crohn's disease는 소화계통의 전층을 침범하는 만성 재발성 염증성 질환이다. 병이 진행되면 염증이 장벽의 전층을 침범하고, 주위 림프절은 물론 창자간막까지 침범하여 점막은 결절화되고, 궤양의 병태와 같이 자갈모양으로 보이며, 장의 점막은 비후된다. 샛길(누공), 틈새(열구), 농양이 형성되기도 한다.

Crohn's disease

협착(stricture)은 반복되는 염증성 질환에 의해 작은창자벽의 섬유화가 진행되어 작은창자가 좁아지는 형태로 협착이 계속 진행되면 폐색된다. 폐색(obstruction)은 후천적으로 막히는 것을 말한다. 염증성질환이 지속적으로 진행되어 큰창자벽의 섬유화가 심해지고 작은창자가 좁아져 협착을 초래하며 이것이 지속되면 폐색된다. 멕켈곁주머니(Meckel's diverticulum)은 태생기 때 배꼽창자간막관이 폐색되지 않아 발생하는 위장관계의 가장 흔한 기형 중의 하나이다. 돌창자에 생기며 장간막부착부의 반대쪽에 생긴다. 검사목적은 염증성 질환, 작은창자의 진단 및 위치 판별, 작은창자관내의 폴립 및 종양 진단, 말단돌창자의 결핵 판별, 작은창자의 형태 및 윤곽이상 판별 등이 있다. 전처치로는 8시간 금식(nothing per oral:NPO)을 한다. 필요시 설사제를 투여한다. 검사 직전에 음료수나 담배는 피한다. 큰창자검사나 위검사와 중복될 때에는 먼저 큰창자검사 2~3일 후에 작은창자검사를 하고 그 다음에 위검사를 한다. 촬영방법으로는 경구법은 고식적인 방법으로 황산바륨 수용액만을 입으로 투여해 검사하므로 단일조영법이라고 하며, 검사전 scout 촬영을 한다. 바륨을 복용한 후 5분부터 15,30,45,60,90,120,180분 단위로 촬영한다. 3~4시간이면 돌막창자부위(Ileocecal Valve)에 도달하므로 간편하나 단일조영법은 작은창자들이 서로 겹쳐졌을 경우 관찰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중조영은 바륨복용 후 공기(발포제) 또는 methylcellulose액을 투여한다. 작은창자의 꿈틀운동 등의 기능을 잘 관찰할 수 있으나 검사시간이 길어 영상의 질이 저하되며 변비 가능성도 있는 단점이 있다. 고위관장법(enteroclysis)은 작은창자의 국소병변, 유착 등에 의한 부분적 장폐색, 특히 점막내 염증이나 mass 및 Crohn's disease가 의심되고 영양흡수 부족으로 운동장애가 있는 환자에게 효과적이다.→Sellink tube를 샘˙빈창자굽이(D-J junction)까지 삽입한 후 시행한다. 단 시간내에 검사를 종료하는 검사법이며, 바륨의 주입속도는 100mL/분이다. 경구법에 비해 검사시간이 짧고 점막내 미세질환 관찰에 효과적이다. 단점으로는 기능관찰이 나쁘며 피폭이 많고 환자의 고통이 크며 검사가 복잡하다.

enteroclysis

튜브 삽입법(tube insertion method)는 작은창자폐색이나 협착환자의 폐색부위의 깊이, 위치와 범위를 확인하고 장내가스 압력을 줄이기 위해 시행한다. M-A 튜브(Miller-Abbort tube)를 코를 통해 샘창자에 삽입한 후 꿈틀운동에 의하여 위치를 확인하고 가스나 분비물을 배액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장의 중첩 없이 검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폐색되어 팽창된 작은창자의 감압을 목적으로 시행한다.

tube insertion method

영상평가(경구법)은 시간경과 후 촬영에서 작은창자의 전체음영이 보여야 한다. 바륨 복용 후 30분 경과 사진(영상)에는 위장(stomach)이 포함되어야 한다. 사진(영상)에는 방향과 촬영시간이 표시되어야 한다. 환자는 정전후자세(true AP position)가 되어야 한다. 척추는 사진의 중간에 위치해 있어야 한다. 바륨이 막창자에 도달했을 때 검사를 끝내야 한다. 후처치는 바륨에 의한 변비가 생길 수 있으므로 다량의 수분섭취를 권유한다. 변비가 심한 환자의 경우 설사약을 복용하도록 한다.

반응형

'지식을 쌓아가는 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Defecography  (1) 2022.01.28
Colon Study  (0) 2022.01.20
UGI  (0) 2022.01.15
Esophagography  (0) 2022.01.10
Scapula AP,LAT  (0) 2022.01.07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