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식을 쌓아가는 일

UGI

by 우주가득 2022. 1. 15.
반응형

1. Upper Gastrointestinal Series= 상부위장관조영술

위(stomach)는 소화기관 중에서 가장 넓은 구조를 가진 장기로서 좌측 횡격막 아래에 J자 형태를 이루면서 위치하고 있으며, 아래로는 십이지장과 연결 된다. 들문조임근의 수축 시 위가 식도에서 분리된다. 검사 목적은 선천선 기형, 위염, 위궤양, 위폴립, 위양성 종양, 위암, 위석, 위곁주머니, 협착, 탈장, 폐색, 출혈성 궤양 등을 관찰 할 수 있다.  Gasocol 7~10cc를 검사 15분 전에 경구투여 하여 점막의 기포제거 및 점액의 과 분비를 억제한다. 발포제는 위장 내에서 공기를 형성하는 기포제로서 위장을 팽창시키고, 황산바륨과 혼합되어 이중 조영상을 나타낸다. 황산바륨과 동시에 경구투여 한다. 황산바륨(BaSO4)은 미세구조를 관찰하기 위해서는 가능한 고농도의 바륨을 사용해야 하나 농도가 높으면 점도가 높아진다. 70~240% w/v를 사용하고 제품화 되어 있다. Gastrografin은 위, 장관계의 협착, 폐색, 누공 시 황산바륨의 대용으로 사용하며, 내산성이 강하고 침전되지 않고 확산성이 좋다. 또한 기관지나 배안으로 들어가도 자극 증상이 없고 정맥에서 흡수된다. 고장액 이어서 탈수증상에 있어 주의를 해야 한다. 또한 쓴 맛이 강하여 마시기가 힘들며, 소화관을 빨리 통과하여 신속조영을 하는데 적합하다. 장관에서 극히 소량이 흡수되며 거의 대부분은 변으로 배설된다. 촬영전 준비사항으로는 환자가 도착 전에 검사 준비가 완료되어야 하고, 투시 촬영실의 청결사항을 항상 확인한다. 또한 조영제는 투여에 알맞은 온도가 되었는지 확인한다. 검사방법으로는 이중조영법, 충만법, 압박법, 점막법이 있다. 대부분의 위장조영술은 이중조영법을 사용하고 BaSO4 200~250%w/v 130mL와 gastroluft(발포제) 3~5mg을 경구투여하여 짖무름과 용종성 병변 등 점막표면의 미세한 병변을 묘출시키는 촬영법이다. 고농도의 BaSO4으로 점막을 0.5mm 이하로 얇게 도포하고 공기로 위장을 부풀려서 위벽이 접히지 않게 하는데 있다. 충만법은 장기내에 충만시켜 위장의 운동기능, 형태, 위치 등의 전체적인 해부상태와 배출기능을 관찰하는 조영방법이다. 압박법은 압박대를 이용하여 압박을 가하여 위장의 가스와 바륨의 분포를 변화하여 융기성 병변, 함몰성 병변을 묘사하는데 적합한 촬영법이다. 위몸통, 모패임은 RPO 날문부, 샘창자팽대는 LPO자세에서 압박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점막법은 황산바륨과 발포제를 이중조영법의 1/2을 경구로 투여한 후 점막주름의 형태를 관찰하는 방법으로 조기위암의 검색에 효과적이다. 검사자세 중 바로누운자세(배와위, supine position)

supine

 stomach의 모양을 확인하고, 정면상을 촬영한다. 모패임과 날문방이 잘 묘출된 상태에서는 BaSO4이 fundus에 충만되고, posterior wall, pylorus, C-loop의 이중조영상을 관찰할 수 있다. 엎드린 자세(복와위, prone position)에서는 앞벽의 gastric areas이 섬세하게 나타난다. 또한 날문부와 샘창자팽대부가 겹치지 않고 반측면으로 관찰 할 수 있다. LPO자세(Hampton's position)

LPO

날문에서부터 모패임까지의 위뒤벽이 잘 묘출 될 수 있도록 촬영한다. 위바닥에 BaSO4이 충만되고 날문부와 샘창자팽대부위의 이중조영상이 관찰되며, 모패임의 병변 관찰에 효과적이다. RPO자세(Shatzki's position)

RPO

는 위장의 윗부분이 이중조영상으로 관찰하는 것이 주목적이기 때문에 위체상부자세라고도 한다. 식도-위 접합부위부터 위몸통아래부분의 작은굽이 중심으로 관찰한다. BaSO4은 날문방, 샘창자에 충만되고 위몸통위쪽과 위바닥의 이중조영상을 관찰할 수 있다. 압박 검사는 샘창자팽대부, 모패임부 등 병변의 호발부위를 압박대를 이용하여 세밀하게 관찰한다. 미세위암을 찾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중조영상에서 어려운 병면 표면의 형태를 잘 알 수 있다. 굴곡된 부위를 압박대로 누르면 위장이 신전되어 날문, 날문방, 모패임부 등의 뒤벽의 정면상으로 관찰 할 수 있다. 선자세에서는 모패임이 잘 충만되어 정면으로 묘출되고, 될 수 있으면 샘창자가 조영될 때 촬영한다. 위바닥에 반달형태의 공기가 채워지고, 위장의 크기, 형태, 위치 및 주위 장기와의 관계 등을 파악한다. 이중조영 된 위바닥의 변형, 큰굽이 및 작은굽이의 변화가 잘 묘출된다. 후처치는 Barium으로 인한 변비가 생길 수 있으므로 물을 많이 마시게 하고 변비가 심한 환자의 경우 하제를 복용하도록 한다. 위내시경의 장점은 점막을 직접 관찰 할 수 있고, 조직검사와 치료시술이 가능하다. 단점은 전체적인 장기의 상태를 관찰할 수 없고, 삼킴곤란의 진단이 어렵다. 위장조영술의 장점은 전체적인 형태를 관찰할 수 있고, 주위 장기와의 연관관계를 알수 있다. 또한 운동성 질환을 관찰 할 수 있다. 단점으로는 국소적인 미세 병변의 관찰이 떨어진다. 위장관계 질병에 대한 검사는 검사 대상부위, 환자의 상태, 증상 및 소견을 참고하여 조영술 또는 내시경 검사를 실시하거나 두 검사를 병행하여 실시한다. 두 검사를 병행하여 시행할 경우에는 가급적으로 내시경 검사를 먼저 시행하도록 하고 위장검사를 먼저 시행할 경우 3~4일 정도를 두고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응형

'지식을 쌓아가는 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Colon Study  (0) 2022.01.20
SBS  (0) 2022.01.17
Esophagography  (0) 2022.01.10
Scapula AP,LAT  (0) 2022.01.07
Mandible PA·PA axial,AP Axiolateral OBL/TM Joint Axiolateral  (0) 2022.01.04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