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70

Mandible PA·PA axial,AP Axiolateral OBL/TM Joint Axiolateral 1. Mandible PA(posteroanterior)·PA Axial Projection= 아래턱뼈(하악골) 후전 또는 후전 축방향 촬영 촬영목적은 턱뼈가지(하악지, mandible rami)와 턱뼈몸통(하악체, mandible body)의 골절 그리고 턱관절(temporomandibular joint)병변의 유무를 관찰할 수 있다. Film size는 8x10 crosswise를 사용하고, 환자는 엎드린 자세나 앉은 자세를 취하고, 머리부의 움직임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양손을 카세트위치의 양단에 놓고, 정중시상면이 테이블면에 수직이 되게 한다. 중심선은 턱뼈몸통(하악체)부와 턱관절을 보기 위해서는 필름중앙(입술)에 수지그로 입사한다. 또는 턱뼈가지(rami)와 턱관절돌기(condylar process.. 2022. 1. 4.
Abdomen Supine,Erect 1. Abdomen AP(anteroposterior) Projection(Supine)=배(복부) 전후방향 촬영(누운자세) 촬영목적은 염증, 외상, 종양 등에 의한 소화관 내 유리가스, 복수, 복강유리가스의 확인과 간장, 지라(비장) 및 콩팥(신장)의 크기, 형태, 위치의 확인 그리고 돌(결석), 종양음영 등 병변을 관찰한다. 환자는 바로 누운자세를 취한 뒤, 정중시상면을 IR면의 중심선과 일치시키고 엉덩뼈능선(장골능, iliac crest) 높이가 중앙이 되도록 한다. 양 어깨를 밀착시켜 같은 수평면에 놓이도록 하며 양 팔은 영상에 겹치지 않도록 몸통 옆에 벌려 놓는다. 무릎 밑에 고정용구를 놓아 편안한 자세가 되도록 하고 자세를 고정하여 촬영하는 동안 호흡은 날숨(호기) 후 멈춘 상태에서 엑스선 조.. 2022. 1. 1.
Chest apical lordotic, Decubitus 1. Chest Apical Lordotic projection=Lindblom법=흉부(가슴) 폐첨 척주전만 촬영 촬영목적은 빗장뼈(쇄골)와 겹쳐지지 않은 허파꼭대기의 염증 및 종양 등 병변의 유무를 관찰한다. 환자는 선자세로 하고, 수직격자장치에서 한 발자국 앞에(약 30cm) 전후방향으로 세운다. 발은 움직이지 않은 상태에서 어깨와 등을 뒤로 기울여 수직격자장치에 기대게 하고 정중시상면을 IR면의 중심선과 일치시킨다. 그리고 IR면 윗쪽 가장자리가 양쪽 어깨의 위 약 4cm에 놓이도록 조정한다. 또한 양쪽 손등은 엉덩부위에 올려 놓고 양쪽 어깨를 앞쪽으로 당겨 놓는다. 자세를 고정하여 촬영하는 동안 호흡은 깊은 들숨(심흡기) 후 멈춘 상태에서 엑스선 조사를 한다. 이 자세를 척주전만자세(lordoti.. 2021. 12. 29.
Pevis axial,Hip joint axiolateral 1. Pelvis AP(anteroposterior) Axial Projection= 골반 전후축방향 촬영(inlet view, outlet view) 촬영목적은 inlet view에서는 외상성 질환에 의한 볼기뼈(관골), 두덩뼈(치골), 궁둥뼈(좌골) 등의 병변의 유무를 관찰하고 outlet view에서는 궁둥뼈, 두덩뼈로 형성되어 있는 폐쇄구멍에 관계된 질환을 관찰한다. 환자는 바로누운자세로 하고 머리를 베개로 받친다. 정중시상면이 IR면의 중심선과 일치되도록 한 다음 양쪽 위앞엉덩뼈가시(상전장골극, ASIS)중간 지점과 두덩결합(치골결합) 사이 중앙점을 IR면의 중앙에 놓이도록 한다. 골반은 회전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양 다리를 펴고 양 발꿈치를 중심선에서 각각 10~15cm 정도 같은 간격으로 .. 2021. 12. 2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