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70 EST 1. 내시경적 유두괄약근 절개술(Endoscopic SphincteroTomy: EST) 해부학적 특징은 위의 유문에서 약 10cm 아래에 온쓸개관과 이자관이 합쳐진 간이자팽대부, 일명 바터 팽대부가 있고 연결된 큰샘창자유두가 있다. 이 곳에는 간이자조임근 일명 오디조임근이 있어 조절되고 있다. 생리적 특징으로는 간에서 생산된 쓸개즙과 이자에서 분비되는 이자액은 각각 온쓸개관과 이자관으로 이동하면서 합쳐져 1.5cm의 바터팽대부를 통해 큰샘창자유두로 배출되어 작은창자내 음식물의 분해를 촉진하여 흡수 및 소화를 돕는다. 이때 쓸개관 및 이자관돌, 쓸개돌, 쓸개암, 이자암, 이자염증, 오디조임근 기능이상 등으로 인한 쓸개즙과 이자액의 배출에 문제가 생기면 가장 대표적인 황달, 발열, 오른위쪽배 통증, 소화불.. 2022. 8. 21. E.R.C.P. 1.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 Pancreatography=내시경적 역행성 담도·췌관 조영술 생리적 특징으로는 간에서 생산된 쓸개즙은 작은창자에서 음식물의 소화를 돕기 위해 간→미세쓸개관→좌,우 간속쓸개관→온간관→온쓸개관을 거쳐 작은창자로 배출된다. 이때 소화된 점막상피에서 콜레시스토키닌의 작용으로 쓸개가 수축을 일으키는데, 이 때 오디 조임근은 이완을 일으켜 쓸개즙을 배출한다. 이자에서 생산된 이자액은 주이자관은 온쓸개관과 합류되고 샘창자에 구멍이 생기기 전에 바텀팽대부를 형성한다. 이때 쓸개돌이 생기면 쓸개즙과 이자액의 배출이 되지 않아 쓸개즙의 역류로 인한 쓸개관염, 이자염이 발생할 수 있다. Mirizzi's syndrome은 쓸개관이나 쓸개목의 매복으로 온쓸개관이.. 2022. 2. 3. Defecography 1. Defecography(배변조영술) 해부학적 특징은 구불창자에서 이어져 골반의 뒤벽, 즉 엉치뼈와 꼬리뼈의 앞면을 따라 내려와 꼬리뼈아래끝의 앞에서 항문을 지나 외부로 개구하며, 그 총길이는 약 20cm이다. 곧창자는 남자에서는 방광의 뒤, 여자에서는 자궁과 질 뒤에 있다. 항문관의 길이는 남녀의 차이가 있어 남자는 약 4cm, 여자는 대게 2.5~3cm이다. 항문 곧창자 연결부는 골반바닥에 있고 항문올림근의 일부인 두덩뼈곧창자근과 전바으로 항문곧창자각을 이루고 있다. 생리적 특징은 항문관에 있는 내부항문조임근과 항문에 있는 외부항문조임근은 분변의 배설, 장의 가스를 통제 한다. 내부항문조임근은 민무늬 근조직으로 되어 있고 불수의적이며 신경자극은 자율신경계를 통하여 일어난다. 곧창자탈출증은 곧창자가.. 2022. 1. 28. Colon Study 1. colon study= 대장조영술 큰창자의 기능은 식물성 섬유와 일부 음식물의 소화, 약간의 비타민 제조 외에 주로 수분을 흡수 하여 대변을 형성하며 몸 밖으로 배설한다. 막창자(cecum), 잘록창자(colon), 곧창자(rectum)의 3부분으로 나눈다. 작은창자에서 소화과정을 거친 노폐물 상태의 미즙이 큰창자로 전달된다. 날마다 1500mL의 미즙이 큰창자에서 처리되며 수분은 분변으로 제거되는 100mL를 제외하고는 잘록창자의 몸쪽에서 흡수된다. 잘록창자암은 출혈과 복통, 배변의 습관과 큰창자의 직격이 변하고 장폐색이 나타난다. 대부분 곧창자와 구불창자에서 다발하며 샘종이 악성으로 변하여 샘암으로 이행된다. 용종은 큰창자에 발생하여 큰창자안으로 돌출된 종괴를 용종이라고 한다. 크기가 5mm 이.. 2022. 1. 20. 이전 1 ··· 6 7 8 9 10 11 12 ··· 18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