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70

PCN 1. 경피적 신루설치술(PerCutaneous Nephrostomy) 요로협착이나 폐쇄 또는 감염이 있는 경우 콩팥의 집합계에 직접천자 방법으로 배액도관(drainage catheter)을 삽입하여 인위적으로 배뇨시킬 목적으로 시행하며 95%의 성공률과 합병증이 거의 없기 때문에 최근에는 외과적 수술을 대체하여 많이 시술 되고 있다. 검사목적은 역행적으로 배액도관을 삽입할 수 없는 환자, 요관의 폐쇄가 콩팥부전으로 이행되거나 패혈증이 우려되는 경우에 이를 완화시켜 주기 위해, 요로폐쇄 및 요관샛길 환자, 종양의 전이에 의한 요관협착 환자의 배뇨를 위한 배액도관(stent) 삽입을 위해, 돌(결석) 제거를 위해, 콩팥종양(renal cancer)과 콩팥낭포(renal cyst)의 감별목적인 생검(biops.. 2022. 9. 3.
AGP 1. 하행성 신우조영술(AnteGrade Pyelography) 검사목적은 RGP와 비슷한 목적으로 시행하나 방광을 통하지 않고 콩팥깔때기에 직접 천자하여 조영제를 주입하고 촬영하는 방법으로서 대부분의 경우 경피적 신루설치술(PerCutaneous Nephrostomy: PCN)의 전단계로 시행한다. 경정맥요로조영술로 요관의 조영상이 불분명한 경우에 정확한 협착부위를 결정할 때, 역행성 신우조영술이 불가능하거나 결과가 불충분한 경우에 비뇨계통의 조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경피적 신루설치술이나 중재적 시술의 시행 전 집합계(collectiong system)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세균이나 세포검사 등과 같은 병리학적 검사를 위한 시료채취를 목적으로 시행한다. 조영제는 비이온성 조영제 30mL를 사용한다... 2022. 9. 2.
DIP, RSP 1. 점적주입 신우조영술(Drip Infusion Pyelography) 검사목적은 콩팥기능의 저하, 비만, 수분제한 등으로 전처치를 할 수 없는 환자, IVP에서 콩팥이 조영되지 않은 경우, 콩팥부전 환자, 콩팥고혈압 환자, 콩팥종양 및 낭포진단의 감별, 교통사고나 외상에 의한 콩팥 파열여부의 확인 등이 있다. 방울주입콩팥깔때기조영술은 전처치가 불가능하거나 IVP검사에서 콩팥깔때기, 요관상이나 병변부위가 선명하게 나타나지 않은 환자에 적용한다. 생리식염수에 희석시킨 조영제를 방울주입방법으로 대량 주입하여 소변 중의 조영제농도를 높게 만든다. 콩팥, 요관, 방광의 전체상을 한 영상으로 관찰할 수 있으며 콩팥실질 및 콩팥혈관의 진단 감별에도 효과적이다.(최근에는 초음파 검사나 CT 검사 등 다양한 검사기법.. 2022. 9. 1.
RGP 1. 역행성 신우조영술(RetroGrade Pyelography) 검사목적은 콩팥잔의 미세한 변호와 요관의 폐쇄 및 협착 위치를 확인할 목적으로 경정맥 신우조영술을 통한 콩팥깔때기, 콩팥잔 등의 집뇨계 및 요관의 영상이 불충분한 경우 추가로 시행하게 된다. 요도를 통해 역행적으로 catheter를 삽입하여 아래 요관에 직접 수용성 조영제를 주입한 다음 촬영하는 침습적인 검사방법으로서 한쪽 또는 양쪽 요관을 통한 검사가 가능하다. 또한 검사 시 방광경을 이용하므로 방광경 검사와 소변 세포, 세균검사 등의 병리학적 검사를 동시에 병행할 수 있다. 조영제는 생리식염수로 희석시킨 비이온성 조영제를 1회에 5~10mL 용량으로 주사기를 사용하여 주입한다. 전처치는 IVP와 동일하나 수분 제한은 필요 없다. 배뇨할.. 2022. 8. 3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