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70

IVP 1. 경정맥 신우조영술(IntraVenous Pyelography) 콩팥은 왼,오른 한 쌍으로 완두콩 모양의 복막뒤장기이다. 길이는 10~15cm, 폭 5cm, 두께 3cm 정도 이다. 한쪽의 무게는 약 150g 정도이다. 바깥쪽의 겉질, 안쪽의 속질로 구분되며, 속질내의 원뿔 모양의 콩팥피라미드가 배열되어 작은술잔을 이루고 여러개의 작은술잔이 합하여 큰술잔을 이루며 큰술잔이 합쳐저 콩팥깔때기를 형성하여 요관으로 연결된다. 정상 콩팥은 제 12 등뼈로부터 제 3 허리뼈 사이에 위치하며 오른쪽 콩팥이 왼쪽 콩팥보다 약 2cm 아래에 위치한다. 요관은 왼, 오른 한 쌍으로 구성된 길이 25~30cm 정도의 민무늬근성 관이다. 내부 점막층, 중간 근육층, 섬유성 결합조직인 외막 등의 3층으로 구성된다. 콩팥의.. 2022. 8. 30.
OCG 1. 경구담낭조영술(Oral CholecystoGraphy) 검사목적은 조영제의 경구투여 및 지방식을 통한 쓸개의 생리학적 상태(pathologic condition)를 관찰한다. 간의 기능 쓸개관의 개방상태와 쓸개의 위치, 크기, 형태, 농축정도를 관찰한다. 지방식 투여로 인한 수축, 배설기능을 통해 쓸개관돌(담관결석), 신생물, 협착 등을 검사한다.(최근에는 초음파 검사와 컴퓨터 단층촬영의 발달로 경구담도조영술은 거의 시행하지 않는다, 2001년 biloptin 조영제는 생산이 중단되었다.) 조용제는 biloptin 6정(0.5mg/capsule)로 경구쓸개조영 검사에 사용되는 조영제는 6알약 3mg으로 되어 있으며 보통 검사 12시간 전에 5분 간격으로 6알약을 30분에 걸쳐 온수로 복용한다. 지방.. 2022. 8. 29.
T-tube 1.T-tube 담도조영술(T-tube cholangiography) 쓸개절제술은 쓸개나 쓸개관에 돌이 있고 증상이 없는 경우 조기에 수술을 할지 경과 관찰을 할지에 논란이 있는데, 일반적으로는 경과를 관찰하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3cm 이상의 큰 쓸개돌이나 쓸개 석회화가 있는 경우는 쓸개암의 위험용인이 되기 때문에 조기에 쓸개를 절재해야 한다. 최근에 복강경을 이용한 쓸개절제술이 많이 이용되면서 내시경적 유두괄약근 절개술로 온쓸개관돌을 제거하고 1~2일 후에 복강경 쓸개절제술로 쓸개를 제거하는 방법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 방법은 입원 기간이 단축되고 온쓸개관 절개에 따른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T-tube 담도조영술은 쓸개절제술 또는 쓸개관계 수술 도중 제거하지 못한 작은 돌의.. 2022. 8. 28.
PTCS 1. 내시경적 경피경간 담도결석 제거술(Percutaneous Transhepatic Cholangioscopic Stone removal) 쓸개관암이란 간에서 만들어진 쓸개즙이 샘창자로 배출되는 통로인 쓸개관에 발생하는 암이다. 쓸개관암은 주로 왼, 오른간관이나 온간관, 온쓸개관 말단에서 발생하는 원발성 악성종양이다. 쓸개암보다는 발병률이 낮으며 50~70세의 연령층에서 많이 발생하고 남성이 여성보다 발병률이 높다. 보통 통증은 명치 부위나 등에서 생기는데 아주 약하거나 못 느끼는 경우가 있다. 검사목적은 내시경적 경피경간 담도결석 제거술로 돌 제거 후 쓸개즙 배액, 경피경간 담즙 배액술 시행 후 잔류 돌의 유무와 적출, 종양과 염증성 병변 진단 및 쓸개관염, 미란, 궤양유무의 진단이 있다. 검사방법은.. 2022. 8. 27.
반응형